▲ 방경태 대전이문고 교사 |
교사들에게 요구하는 대부분의 연수는 충분한 교재준비를 통해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창의적 사고력을 확산시키는 발문을 강조한다. 학교 교육을 통해 수많은 기존의 정보를 토대로 새로운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점은 적극 공감하고 또 그 필요성을 느낀다.
교사들에게 이러한 발문을 연수하는 것처럼 이제는 우리 학생들에게 질문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고 싶다. 학생들의 질문은 학습에 대한 관심의 표명이며 두뇌를 살려내는 일이고 학습의 발전 가능성을 보여 준다는 점에서 질문하기 공부가 무척 중요하기 때문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질문만을 듣고도 그 학생의 공부 깊이를 가늠할 수 있다. 씨름 선수가 샅바만 잡아 보아도 상대의 실력을 알 수 있는 것과 같다. 그래서 교사들은 그 교재의 내용을 충분히 아는 상태에서 학생들의 사고력을 신장시키고 아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묻는 발문을 하는 데 반해, 학생들 대부분은 교재의 내용을 잘 모르는 상태에서 궁금증을 묻는 질문을 한다.
주지하다시피 유대인 자녀 교육법 『탈무드』에 따라 유대인 학부모는 학교에서 돌아온 아이에게, “오늘 질문 몇 번 했니?” 하고 묻는다고 한다. 반면에 우리나라 학부모는 “오늘 몇 점 받았니?”라고 묻는 것이 대부분이다. 우리나라 학부모들이 학습의 결과인 '점수'에 목매고 있다면, 그들은 학습의 과정인 '질문'을 중요시하는 것이다. 또 『탈무드』에는 “낯선 고장에서 집을 찾으려고 할 때 열 번 물어보는 것보다 한 번 헤매는 것이 더 나쁘다”고 한다. 모르는 일이 있으면 누구에게든 계속 물어서 알고 싶은 일을 알아야 함을 강조한다.
그런데 우리는 모르면서도 질문을 하지 않는 학생들이 많고, 질문을 한다고 하더라도 단순히 어려운 어휘 문제나, 지엽적인 내용이 대부분이다. 새로운 유형의 문제가 나오면 스스로 풀어보고 해결하려는 노력 없이 “이런 문제는 어떻게 풀어요”라며 어려움만을 호소하기 일쑤다.
개별적으로 한 학생과 오랜 시간 질문을 주고받을 수 없는 현 상황에서 교사로서 조금 욕심을 부린다면, 어떤 내용의 문제든 학생이 먼저 자기 주도적으로 책을 읽거나 문제를 풀어보고 고민해 보고 “나는 이렇게 생각하는데 책은 이렇게 나와 있어요. 잘 이해가 안 돼요. 왜 그런지 설명 좀 해 주세요”라고 질문하면 어떨까. 또 책이나 문제지에 여분을 이용해서 궁금증을 그때그때 적어 두거나, 여분이 없으면 포스트잇을 활용해 질문할 내용을 적어 두면 어떨까.
일찍이 질문의 중요성을 인식한 어떤 이는 교실 수업에서의 질문 방법에 따라 수업의 등급을 나누기도 했다. 교사가 질문하고 교사 본인이 스스로 답하는 수업은 최하급 수업이고, 교사가 질문하고 학생들이 답하는 수업은 조금 발전한 수업이고, 학생들의 질문에 교사가 답하는 수업은 바람직한 수업이고, 학생이 한 질문에 다른 학생이 답하는 수업이 최상급 수업이라 한다. 창의 인재 육성과 교실수업 개선을 위한 현대 교육의 전환기에서 새삼스럽게 기원전 5세기 때의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이 더욱 의미 있게 다가오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