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종잡을 수 없거나 연약함을 일컬을 때 “갈대와 같다”고 하기도 하지만 갈대는 강하고 질긴 줄기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번식력도 뛰어나 어느 식물보다도 강한 생명력을 지니고 있다. 갈대 잎으로 바람개비를 만들어 갈대 끝에 매달고 달리면서 돌리던 기억 또한 새롭다. 갈대는 쓰임새 또한 뛰어나서 기와나 초가집 담장에 벽을 치거나 추녀를 들일 때 엮어서 속심으로 쓰고 그 위에 흙맥질을 하면 매우 튼튼하여 반영구적이었다.
갈꽃비는 바로 이 갈대의 꽃을 뽑아서 만든 빗자루다. 이 갈꽃비는 매우 촘촘하고 고와서 미세먼지나 머리카락 등을 쓸어내는 방비로 사용하였을 뿐만 아니라 벽지나 문종이에 풀을 발라 붙일 때 풀비로도 아주 그만이었다.
갈꽃비를 만들 때도 마당을 쓰는 데 쓰는 수수머리나 댑싸리 또는 싸리나 대나무 잔가지로 만들어 쓰는 빗자루보다 훨씬 더 정성들여 만들었다. 주로 방안에서 썼기 때문에 오색물감으로 물들인 실이나 끈으로 갈꽃을 묶어 만들었기 때문에 아름다운 장식미까지 갖추고 있었다.
갈꽃을 뽑아서 그대로 말리면 그 줄기가 부러지거나 꽃술이 쉽게 부스러져 떨어져 나갔기 때문에 갈꽃이 활짝 피기 전에 뽑아서 옅은 소금물에 삶아 그늘에서 잘 말리면 좀이 먹거나 곰팡이가 피지 않고 질겨져서 잘 부스러지지 않아 닳아서 몽당 빗자루가 될 때까지 오래도록 쓸 수 있었다.
갈꽃비는 요즘의 화학제품이나 짐승 털로 만든 빗자루와 달리 정전기가 일어나지 않아 미세먼지와 머리카락을 쓸어내는 데 아직도 그만한 것이 없다. 특히 머리카락은 정전기가 일어나면 빗자루 사이사이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여간 신경 쓰이는 게 아니다. 갈꽃비는 그럴 걱정이 전혀 없는 착한 빗자루이다.
들길이나 강가를 거닐다가 갈꽃을 보면 한 줌 뽑아다가 삶아 말려 작은 갈꽃비를 만들면서 옛 추억과 슬기에 잠겨보면 어떨까?
정동찬·국립중앙과학관 전시개발과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