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TV 전환의 목적에 맞게 누구나 불편 없이 방송 서비스를 향유할 수 있어야 한다. 전국 일시 종료 대신 지역별로 방송 종료 일정을 조정한 것도 지원 신청을 분산해 서비스 차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알고 있다. 아무리 늦어도 방송이 끊기기 전 새로운 방송 수신 준비 완료를 목표로 해야 한다.
실제로 대전, 세종, 충남, 충북 지역민 일부의 방송 소외 현상이 걱정되는 상황이다. 송신 방식의 전환은 수년 전부터 예고됐지만 수신 방법 변경 사실을 여태 모르거나 아직 준비가 안 된 가구가 많아서다. 지원을 마치지 않은(충남의 경우, 현재까지 2만4766 가구 지원) 가구에 대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기 지원에 속도를 내야 사각지대가 생기지 않을 것이다.
지금 상태에서 전체 가구의 98.3%가 종료 이후 TV 시청이 가능하다는 것은 다소 낙관 섞인 전망이 아닌가 싶다. 계획상으로는 방송 종료 이후 3개월 동안 지원 신청이 가능하다고는 한다. 하지만 취약계층 중 디지털 TV나 수신기 구입 등 디지털 방송 서비스로 전환할 의향이 상당히 낮게 나타난 바 있다. 시한을 못 박지 말고 단 한 가구도 빠지지 않게 끝까지 지원했으면 한다.
지역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들의 디지털 전환 역시 시급한 과제다. 수도권 이외 지역이 대체로 부진한 가운데 대전은 호남권과 함께 전환율이 매우 저조하다. 자금력 때문이든 의지 부족이든 정부의 지원과 보급형 상품 개발 등 저렴한 전환을 지원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아날로그 방송 종료로 TV 시청이 불가능한 사례가 생겨서는 안 된다.
특히 취약계층이 방송에서 소외돼 정보취약 계층이 되지 않게 해야 한다. 지자체와 대전전파관리소 및 충남지원센터, 지역 방송사 등 유관기관이 아날로그 방송 서비스 종료를 앞둔 시점에서 사전 협의를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시청자인 지역민이 고화질, 다채널 서비스를 누리는 것 말고도 아날로그 방송 종료는 대선 일정과 맞물려 있다. 시청자 대책 강화, 시청권 보장은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