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민영 사회부 차장 |
부시장은 시장에 이은 2인자다. 행정부시장은 행정적으로 시장 다음의 권한으로 크고 작은 일들을 관장하고 살림한다. 정무부시장은 시장의 정치적 지원자로 언론관계와 의회관계 등 대외 관계를 책임지는 일을 한다. 원론적으로는 각각의 업무를 성실히 한다면 부시장은 꼭 필요한 자리며, 시장이나 지사의 업무수행에 있어 필수 보완직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2인자의 자리가 애매한 것이 있다. 2인자를 너무 야심차고 '성실한(?)'인물을 간택하면 선거직인 시장이나 지사 입장에서는 두려울 수 있다.
자칫 수장을 대신해 지속적으로 대중들 앞에 나오다보면 선출직 수장을 누르고 1인자로 탈바꿈 할 수 있는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실제 대전지역도 지난 민선 3기 시절의 2인자가 민선 4기의 1인자로 탈바꿈한 예가 있다. 규모가 작은 지역사회는 더더욱 그렇다. 시·군의 수장들이 임명직인 부시장·군수를 지역 연고가 있는 인물은 절대적으로 기피하는 이유다.
어떤 일이나 이 '적정한 수준'을 지키는 것이 가장 어렵다. 문제는 '야심차지 않은' 인물이 자칫 무기력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열심히 하겠다고 나섰을 경우 '야심'으로 비춰질 수 있어 그냥 뒤로 물러나 아무것도 하지 않고 가만히 있는 경우다. 얼마전 조직의 내홍으로 이렇다 할 성과를 내고 있지 못하는 문화산업 진흥원 문제로 대전 행정부시장을 찾았다. 행정부시장은 이 기관의 이사장이다.
이사장으로서 조직 정상화를 위해 특단의 대책이 필요했다고 보고 대책을 묻기 위해서다. 하지만 행정부지사의 대답은 “너무 많은 산하 기관의 이사장을 맡다보니 기관의 원장에게 내부적인 문제에 대해 이관하고 있고, 구체적인 방향이나 대책은 자세하게 알지 못한다”였다. 또 이어서 온 대답은 “부시장의 '부'는 둘째 부(副)일 수 있지만, 아닐 부(不)이기도 하다”였다.
2인자의 부시장이 아니라 시장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 뿐 아니다. 시티즌 사태, 엑스포 재창조, 시의 굵직한 사안들이 발생했을 때마다 뒤로 물러나 있었다. 물론 부시장은 집안의 어머니같이 조용히 드러내지 않고 시장을 지원해야 한다. 하지만 대책도 없고, 모르쇠로 일관하는 것은 무책임을 넘어 무기력해 보인다. 시장 다음으로 많은 연봉을 받는 부시장에게 '쥐죽은 듯한 무기력'을 바라는 시민은 아무도 없다. 적당하게 임기만 채우기 보다는 시정발전을 위해 시장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헤드 쿼터 역할을 해주는 제2 수장의 역할을 기대해 본다.
김민영·사회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