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여명 이상의 대전ㆍ충남북 주민 편입과 출범 세종시의 달라진 위상이 지역간 이동수요를 확대한 데 반해, 요금과 운행방식을 둘러싼 첨예한 이해관계가 지역민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기 때문이다.
8일 세종시와 대전시, 행복도시건설청에 따르면 이 같은 문제는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첫마을 1ㆍ2단계 입주와 함께 수면 위로 급부상했다. 대전과 충남ㆍ북 입주자가 5000여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에 걸맞은 대중교통수단 도입 과정에서 비롯됐다. 자연스레 대전과 충북지역 버스ㆍ택시의 세종시 진입 허용여부가 논의대상에 올랐지만, 합의점 도출은 쉽지 않았다.
해당 지역 버스ㆍ택시 업계와 이해관계, 금산ㆍ옥천 권역과 형평성 문제 등이 맞물린 점에서 그러했다.
지난 4월께 대전ㆍ충남북ㆍ행복청간 광역교통 실무협의체가 구성되면서, 얽힌 실타래를 조금씩 풀기 시작했다.
버스 부문부터 살펴보면, 대전시에서는 109번이 충남대 농대를 출발해 첫마을까지, 세종시에서는 651번이 유성선병원 인근까지 왕복 운행되고 있다. 2개 버스 모두 대전권 버스와 지하철 환승요금 무료제를 적용하면서, 시민 편의를 확대했다. 하지만 요금이 현금 기준 2250원으로 2배 가까이 비싸고, 첫마을~반석역 기준 이동시간이 일반 승용차 15분보다 최대 4배 이상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드러냈다.
이는 시민들로부터 매력적인 교통수단으로 자리잡지 못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오히려 충남도가 첫마을을 경유해 운영 중인 시외버스가 대전권 이동에 비교 우위를 보이고 있다.
서대전과 유성, 동대전, 정부대전청사 터미널까지 직행으로 운행되는 신속한 접근성과 2100원 수준의 요금이 바로 그것이다.
택시 부문 역시 세종시(2400원/1.5㎞)와 청원(2300원/1.2㎞), 대전(2300원/2㎞)간 요금부과 기준이 달라, 지역업계간 사업구역 확대가 사실상 무산됐다. 지역 경계를 넘어서면 부과되는 할증요금제 역시 심리적 거리감을 더욱 높이고 있다.
2009년 수도권에서 본격화된 통합 대중교통 요금제 도입의 필요성은 바로 여기서 찾을 수 있다.
갈아타는 교통수단과 환승횟수에 상관없이 총 이동거리만큼 요금을 내는 제도다.
세종시 관계자는 “현재는 과도기 상태로, 빠르면 3년 내 충청권 통합 교통시스템이 구축될 것으로 본다”며 “현재 버스운행에 불합리한 점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시ㆍ도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장벽을 허물어 가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이희택 기자 nature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