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일규 대전둔산초교장,前충남서예가협회장 |
황제(皇帝)의 노여움을 사기도 했는데, '논불골표(佛骨表)'라 하여 황제(皇帝)가 부처의 유골을 영접해 궁중에 삼 일간이나 머물게 한 후, 여러 절에 보낸 일에 대해 간단한 글이 유명하다. 한유는 이 글에서 '불교는 사교(邪敎)이므로 불골(佛骨) 같은 것은 수화(水火)에 던져버려야 한다'고 간했기 때문에 조주자사(潮州刺史)로 좌천되기도 했다. 한유는 글의 모범을 선진(先秦)에 구하고, 육조(六朝) 이래의 사륙(四六)변려의 숙폐(宿弊)를 타파하려 했다. 그 때문에 당서(唐書) '한유전(韓愈傳)'에는 당나라가 일어난 이래, 한유는 육경(六經)의 글을 가지고 모든 학자들의 도사(導師)가 됐다.
만년에 이부시랑(吏部侍郞)을 역임한 뒤 57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그가 죽은 뒤에 그 학문(學問)이 점점 융성해 학자들은 그를 태산북두(泰山北斗)를 우러러 보는 것 같이 존경했다고 기록돼 있었다. 중국 제일의 명산인 태산(泰山)과 북두칠성(北斗七星)이라는 뜻으로 학문과 예술의 대가(大家), 태산과 북두칠성을 여러 사람이 우러러 보듯이 남에게 존경 받는 뛰어난 인물을 태산북두라 한다.
우리나라는 지하자원은 부족하지만 인재(영재)양성의 교육으로 2050년에는 세계 최상위권으로 현재 유엔사무총장이 계시듯 세계 각국에서 최고의 지도자가 된다는 큰 비전속에 우리교육을 더욱 높게 보고 있다. 우리 교육자들도 청출어람(靑出於藍)된 제자가 태산북두(泰山北斗)의 인물을 배출 할 수 있도록 전국 최우수 교육을 펼치고 있는 대전ㆍ충남 융합교육에 큰 환호를 보내자.
박일규 대전둔산초교장,前충남서예가협회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