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것보다 대전과 청주에 본점을 둔 충북은행과 충청은행이 과거에 실재했다는 사실이 대전과 충남, 충북 공조에 걸림돌이 되지 않아야 한다. 지역자본 역외 유출 방지, 중소기업 금융 지원 등에서는 충북과 따로 설립해도 큰 지장이 없을지 모른다. 하지만 두 지방은행이 문 닫았던 90년대말과 현재 충청권이 처한 환경에는 상당한 변화가 있다.
가장 필두로 꼽히는 것이 세종시 출범이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거점지구와 기능지구도 대전, 세종, 충남, 충북에 분포하게 된다. 지역상생을 외치지 않더라도 광역경제권 형성의 기반이 조성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은 협력의 틀이 깨질까 염려하기에는 시기상조다. 충청권 기반의 지방은행 설립에 대한 공조를 확고히 굳힐 시점이기 때문이다.
논의의 단계로 보면 지금은 원론적인 검토 수준이다. 또한 지자체가 컨트롤타워 기능은 하겠지만 지역 경제계도 앞장서야 추진력 담보가 가능하다. 충청권 경제포럼 실무회의에서 공동선언문 채택을 합의했느니 안 했느니를 놓고 힘부터 미리 빼는 것은 어느 지자체에나 득이 되는 전략이 아니다.
더구나 은행 설립의 실마리를 찾아나가는 '암중모색'과도 같은 현 단계에서는 지방은행 설립에 얼마나 진정성을 갖느냐가 더 중요하다. 이미 제시한 중소기업과 지역주민의 가용성 증대, 지역자금 역외유출 방지, 이익의 지역 환원 등 지역경제 활성화 측면만으로도 지방은행 설립의 당위성은 충분하고도 남는다. 다음달 충청권행정협의회를 거치면 대강의 윤곽은 잡힐 것으로 본다.
실익을 놓고 인식 차이가 있을수록 가시적인 성과에 매달리다 본의 아니게 오해를 빚거나 일을 그르칠 수도 있다. 각 지자체, 상대적으로 대전시가 더 '페이스' 조절에 신중했으면 한다. 대전, 세종, 충남, 충북이 큰 틀에 합의하고 지역경제계 숙원이라는 데 공감한다면 누가 선점하고 누가 들러리라는 식은 있을 수 없다. 지자체마다 입장이 다른 부분은 서로 이해하고 인정하며 조율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