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청회에선 기부자에게 혜택이 주어져야 한다. 기업에 직접적인 선택권이 있는 지정 기부를 활성화는 것이 효과적이다. 문화예술의 예산이 왜 부족하고 얼마나 모자란지를 말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예술인들은 작품활동만 하고 기부자들은 기부만 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는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됐다.
무엇보다 기부문화 홍보와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 문제는 실천인데, 제시된 방안대로 실천에 옮긴다면 기업들의 참여가 확산될 것은 분명해 보인다. 지역 기업들이 왜 문화예술 기부에 소극적인지를 살피는 게 순서다. 관심이 있어도 지역 예술단체의 실정을 잘 모르고, 어떤 곳을 지원해야 효과적인지 알지 못해서 소극적인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또는 누구만 지원한다는 식의 형평성 논란 우려로 껄끄러워하는 곳도 있을지 모른다. 기업과 문화예술이 더 빈번히 만날 수 있는 장이 필요한 이유다. 뜻만 있으면 어떤 기업도 문화경영을 실천하는 문화기업이 될 수 있음을 적극 설득해야 한다. 기업도 문화예술에 대한 인식을 바꿀 필요가 있다.
문화예술 기부는 자선이 아니라 투자다. 기업은 문화예술을 지원함으로써 이미지와 브랜드 가치를 높이고 문화예술계는 지원을 영양분 삼아 성장해 시민들의 문화 갈증을 풀어줄 수 있다. 기업도 어려운 형편에 무슨 지원이냐고 할 수 있겠지만 그럴 때일수록 문화투자가 효자노릇을 할 수도 있다. 지역경제의 외형적인 규모로 볼 때 문화예술 지원이 능력 밖의 일은 아니라고 여겨진다.
지원의 손길이 부족한 만큼 지역 문화예술인들은 외로운 노력을 하고 있다. 사회적 지원이 부족해 재능을 썩히는 예술인이 있다면 안타까운 일이다. 문화예술 지원에 열정을 쏟는 기업이 많아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