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록 한쪽에선 생태계와 환경을 고려한 생태 친수공간 조성사업이라고 하지만 금강하구 황폐화를 걱정하는 서천군 쪽 입장은 전혀 다르다. 해상도시 건설은 14년 전에도 제기됐었다. 당시 장항읍 침수 피해 등을 들어 좌초시킨 사업임을 기억하는 주민들로서는 사실상 국가가 개발할 수 있는 근거 마련이 될 용역 자체가 달가울 리 없는 것이다.
더 사태를 키우기 전에 해상 매립지 개발 저지가 왜 지역 최대 현안으로 부상했는지부터 생각해봐야 한다. 마주보고 생활하는 서천군민이 공감하지 않는다면 토사를 새만큼 매립토로 활용하는 것을 포함해 다른 이용 방도를 찾는 게 순리다. 또한 과거 불이익을 감수하면서도 친환경적 대안사업을 수용했던 서천군민에 대한 도리를 지켜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서천군민들은 군산항을 보호할 용도의 각종 국책시설로 해양환경 훼손을 불렀다며 불만이 많다. 인공섬이 금강 하류 흐름을 막아 서천 쪽에 토사가 쌓이는 원인을 제공했다고도 보고 있다. 이제는 해상도시 건설에 따르는 ‘환경 재앙’까지 우려할 처지다. 어떠한 발전 전략도 다른 일방의 동의 속에 이뤄져야 할 것이다.
이웃 갈등의 골을 깊게 하는 ‘상생’이란 있을 수 없다. 항만 친수시설이건 새만금과 연계한 종합관광지이건 일방적인 개발은 멈춰야 한다. 문제의 인공섬은 군산항 항로 유지를 위해 퍼올린 퇴적물로 조성된 매립지다. 바다 생태계 파괴를 감수하면서까지 개발 타당성 용역을 무리하게 진행할 필요는 없다는 판단이다.
용역이 필요하다면 인공섬 개발이 아닌 “금강하구의 생태계 복원을 위한 종합 대책”에 관한 것이다. 침수 피해와 적조 심화, 철새 도래지 파괴, 금강 하류 토사 퇴적 등의 주장에 귀를 기울이기 바란다. 아무리 ‘군산 여의도’에 비유될 원대한 사업일지라도 다른 당사자인 서천 지역민의 뜻을 무시하면서, 더구나 근본적인 대책도 없이 추진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