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생들의 집단 설사증세가 식중독 때문인지는 역학조사 결과가 나와 봐야 정확히 밝혀지겠지만 날이 무더워질수록 음식물 관리는 더욱 철저해져야 한다. 성장기 청소년들이 하루의 대부분을 보내는 학교의 위생과 청결, 급식관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식중독은 조금만 신경쓰면 얼마든지 막을 수 있다. 감독 강화도 물론 중요하지만 급식 담당자들부터 위생관리가 최우선이라는 인식을 가져야 한다.
지난 2월 질병관리본부는 초중고교 학생에게 가장 흔한 감염병 실태를 공개했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6월에 가장 발생 횟수가 높은 학교전염병이 유행성 이하선염이다. 오랜 시간 과도한 공부에 시달리며 체력이 약해질 대로 약해진 학생은 면역력이 떨어져 볼거리 같은 감염병에 취약하다는 것이다. 중간ㆍ기말고사 기간에 전염병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학교는 여러 명이 한 곳에 모여 생활하기 때문에 전염병이 번지기 쉽다. 그렇다고 해도 결핵에 백일해에 볼거리까지 학교가 각종 질병의 온상이 되고 있는 현실은 딱하다. 수시로 손을 씻는 등 아이들에게 개인 위생수칙을 꼼꼼히 가르칠 필요가 있다. 운동부족으로 말미암은 체력 저하가 질병에 대한 저항력을 약화시킨 측면도 간과할 수 없다. 지난해 교육부 조사에서 고교생들의 주3회 이상 운동 비율이 10~30%에 불과한 현실도 당국과 협조해 개선해나가야 한다.
질병은 늘 방심을 파고든다. 모두가 경계심을 늦추지 말아야 질병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다. 아이들이 질병에서 자유로운 학교를 만드는데 학교와 보건당국은 배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