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안 지속될 심상찮은 전력 위기를 극복하려면 유관기관과 지자체의 에너지 절약 시책은 불가피하다고 본다. 물론 위기의 원인이 전력 피크 기간의 에너지 과소비 탓에만 있지는 않다. 또한 이번 훈련이 혹 초래될지 모를 예고 없는 정전 사태에 대한 사전 면피성 행사가 될 수도 없다.
여러 예측과 정황을 종합하면 최소한 향후 1~2년은 예비전력이 400만㎾ 미만에 머무는 전력난이 지속적으로 등락을 거듭할 전망이다. 흔히 하절기인 지금부터 8월까지는 수요 관리를 각별히 더 잘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동절기에 대비한 발전소 예방정비 요인까지 계산하면 전력 비상 체제는 11월 또는 그 후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지금으로선 신고리 4호기 등 대형 발전소 가동만 고대하는 형편이 됐다.
사실 연중 지속되는 전력 부족 위기는 발전소 가동 정지, 님비현상에서 비롯된 발전소 건설 지연 등이 근본 원인임을 숨길 수 없다. 안전성이 걱정되는 노후발전소 연장 운영, 민간 발전기나 긴급 발전설비 카드를 꺼내든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이 같은 조치는 다만 예비적인 것일 뿐,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 시스템 구축과는 거리가 있다.
이번 훈련 과정에서 무슨 영문인지 몰라 어리둥절한 시민도 많았다. 공공기관과 일부 수요관리 사업체의 참여만으로 전력난을 돌파하지 못한다. 여름휴가가 본격화되는 다음달을 기점으로 지역 산업계는 휴가 조정을 통한 예비전력 확보에도 지혜를 더 짜야 한다. 그러나 ‘캠페인’에 전력난 해결을 맡기는 데는 한계가 있다.
조금만 전력 사용이 늘어도 전전긍긍하고 위기 대응 훈련까지 하는 비상상황이 정상은 아니며 따라서 조기에 끝낼수록 좋다. 올겨울 전력 사정까지 미리 염려해야 하는 전력 부족의 상시화는 수요량 예측, 수급 변동에 대처하지 못한 잘못에도 크게 기인한다. 장기적으로는 신기술 적용과 설비 투자 등을 통한 발전설비 출력 향상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 훈련은 종료됐지만 가정(假定) 아닌 현실인 전력 부족 상황은 아직 종료되지 않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