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문화재단 출범 4년째, 지역 특색을 살릴 수 있는 정책 부진과 사업 진행 과정에서 마찰 등 여전히 갈 길은 멀기만 하다.
재단 사업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한 것은 지역문화예술육성 지원사업(이하 문예진흥기금)이다.
이 사업은 재단 출범 전까지 대전시가 해온 업무로, 한 푼이 아쉬운 지역문화예술계 종사자들이 1년을 준비하며 목을 매고 있다.
예산 지원에 있어 조금이라도 원칙을 훼손하거나 공정성 시비에 휘말리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그러나 문화예술계의 반발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신청자가 심사위원으로 참여한 뒤 기금을 받아 논란이 일었고, 올해에도 재단 이사가 심사위원으로 참여하는 등 여전히 공정성 여부가 도마에 올랐다.
올해엔 진행 과정에서 다단계 절대평가로 심의제도를 도입했지만, 지난해와 크게 달라진 게 없다는 대체적인 시각이다.
재단이 실질적으로 개선했다고 강조한 심사기피제도 이사가 심의위원으로 참여하는 등 애매모호한 기준으로 논란의 여지를 남겼다.
재단이 진행하는 사업 또한 관 주도 행정과 크게 변화가 없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
지난해 대중문화예술 인프라 확충과 활성화 도모를 위해 진행된 대중문화예술 특화거리 조성 사업이 대표적이다. 이 사업 중 하나인 프린지페스티벌은 폐기됐다. 원도심에서 예술인들이 수년간 자발적으로 추진했던 대흥독립만세와 중복된다는 논란 때문이다.
여러 문화예술단체가 문제를 제기하자, 재단은 문제점 보완보다는 폐기를 택한 것이다.
올해에도 대중문화예술특화거리 조성사업이 6~9월 중구 대흥동 일대에서 열린다. 하지만 주요 프로그램 중 일부인 토요페스티벌과 아트프리마켓 역시 중구문화원과 원도심예술단체 등이 지속적으로 개최했던 프로그램이다.
예술단체 관계자는 “올해도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크게 달라진 건 없는 것 같다. 뭔가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없어 아쉽다”고 말했다.
예술과 과학의 융복합프로젝트도 마찬가지다. 이 사업은 대전의 가장 강력한 전략기반으로 야심차게 선보였다. 지난 4월 제1차 융복합예술포럼 등을 개최하며 의욕적으로 추진했지만, 관심과 참여가 적어 아쉬움을 남겼다. 예술인과 과학인의 만남이라는 좋은 취지였지만, 소통의 시간이 부족했다는 평가가 많았다.
지역 한 미술 작가는 “융복합 프로젝트는 참여 작가가 누군지도 알 수 없을 뿐더러 기술인지, 과학인지 조차 구분할 수 없다”고 말했다.
재단 관계자는 “심의를 다단계 절대평가로 진행했고, 신청단체와 직접 관련되지 않은 지역 인사를 물색하다보니 인력풀이 좁아져 이사를 심의위원에 포함시킬 수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박수영 기자 sy870123@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