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장은 임기 중 추진할 일자리 목표와 대책을 제시하고 중앙정부는 이를 원활히 추진하도록 지원하는 개념이 일자리 공시제다. 지난해 대전시는 일자리 목표를 초과해 창출했는가 하면 대전 서구는 지역 일자리 평가에서 전국적인 성과를 인정받았다. 다만 민간 부문의 참여가 부족해 지역의 특수한 고용 여건에 맞게 추진한다는 제도의 장점을 살리는 데는 미흡했다.
고용 창출의 노하우를 지역이 함께 나누며 키워가려면 지자체의 역량만으로 감당하기 어렵다. 일자리 창출 목표치 설정의 적정성 강화를 위해서는 고용 유관기관의 조력도 필요하다. 단순히 일자리 목표 선언에 그치거나 노동시장 분석 역량이 의심될 만큼 지역 현실을 외면한 낙관적인 전망이 쏟아지는 것 또한 문제다.
지자체 단위의 일자리 창출은 구직자 개개인에게 맞는 일자리를 찾아준다는 강점이 있다. 물론 이는 지자체와 유관기관, 민관협력체제 강화로 한계를 넘어섰을 때 가능한 전제다. 비영리기관, 지역대학과의 연계, 세부 대책에 대한 컨설팅, 고용 서비스 지원 시스템 등에서도 원활해야 지역고용 창출의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특히 전체 인구의 14.6%에 달하는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에 대한 고용 지원은 이미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대전ㆍ충남경영자총협회가 22일 이 사안을 다음달 대전고용포럼 주제로 선정한 것은 시의적절하다. 빚이 많고 전체 자산의 82%가 부동산인 이 세대의 고용 창출을 외면하면 주택시장 등에서 시한폭탄이 될 것이라는 예측이 나올 정도다.
현실적으로 지역 일자리 창출 앞에는 지역고용의 자원과 예산 확보 방안, 지역고용센터나 고용 창출 조직의 전문성 제고 등 실로 많은 과제가 놓여 있다. 일자리 공시주체인 단체장의 관심과 민간기업 및 유관기관의 참여 확대, 또 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의 상생 파트너로서 대전고용포럼 등의 역할을 기대하는 이유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