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명화 우송대 스포츠 건강관리학부 교수 |
심장질환은 심장의 혈액을 공급해주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서 나타나는 허혈성 심질환과 심근염이나 판막질환 등으로 인하여 심장 내에 혈액이 고이는 울혈성 심질환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관상동맥이 좁아져 나타나는 협심증은 가슴이 조이거나 통증이 있으며 좌측 팔이 저리거나 어지러움과 숨이 차거나 식은땀 등의 증상이 10초에서 20초까지 나타나지만 때로는 30분 이상 지속되어 매우 위험하므로 의학적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심질환자는 운동을 하기 전 반드시 운동부하검사를 하여 자신의 운동능력에 따라 운동에 임해야 한다. 심장기능을 증진시키기 위한 운동은 그 목적에 따라 예방 프로그램과 재활 프로그램으로 나눌 수 있다. 예방 프로그램은 외견상 건강하거나 심장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로서 규칙적으로 걷기나 고정식자전거 등을 간헐적으로 운동을 하면 안정시 심박수와 수축기 혈압이 낮아지고 콜레스테롤을 낮추어 심근에 산소를 공급하는 능력이 향상되어 심장질환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그러나 달리거나 중량운동, 줄다리기 등은 심장의 부담을 증가시키므로 피해야 한다. 또한 재활운동 프로그램은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 등의 심장질환으로 경피적 관상동맥 확장술, 관상동맥우회로 시술이나 스텐트 등의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재활운동 프로그램은 심장질환이 발병하여 병원에서 시술이 끝난 후 1주일이 경과 되면 운동을 할 수 있는데 의사의 감독 하에 재활 프로그램을 할 수 있는 장소에서 1기에서 4기로 나누어 운동을 해야 한다.
1기 환자의 경우는 보통 시술 후 1주일이 경과되면 병상에서 가벼운 체조 등의 운동을 하며 2기 환자의 경우는 의사의 감독 하에 러닝머신에서 운동 중 심장기능의 변화를 관찰하며 3개월 정도 운동을 해야 한다. 또한 3기의 경우는 3층 정도의 계단을 쉬지 않고 올라갈 능력이 되도록 4개월에서 6개월 정도 운동전문가의 감독 하에 운동을 하며 4기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안정된 시기로 환자가 5층 정도를 쉬지 않고 오를 수 있다면 일반인과 같은 생활을 할 수 있는 능력이 되는 데 3기를 마치고 1년 정도를 해야 한다.
시술을 받은 환자가 일상생활을 하거나 운동 전이나 운동 중, 운동 후라도 흉통이 나타나면 니트로글리세린을 반드시 복용해야 하므로 언제나 지니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우송대 스포츠건강관리학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