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연희 인터넷방송국 취재팀장 |
정상운영 첫해 관람객 수는 42만 명으로 예측됐으며 관람료도 현재 1만7500원에서 대폭 내린 1인당 평균 1만원으로 계산했다. 지난달 대전시가 아쿠아월드 인수 인사를 밝히며 염홍철 시장이 운영에 자신 있다고 한 후 나온 용역결과여서 관심을 끈다. 시민 입장에서는 좋은 교육문화시설을 갖는데다 흑자를 내 시 재정에 보탬이 된다니 반갑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대전의 대표적 근대건축물인 옛 산업은행 대전지점이 주인을 찾지 못해 유찰을 거듭하는 것을 보면서도 매입에 난색을 표하던 시가 아쿠아월드 인수에 기민하게 나서는 것은 좀 의아스럽다. 아쿠아월드 인수에는 100억 원 가까이 드는데 비해 산업은행 대전지점은 최근 4차 55억6230만원에도 응찰자가 없었다. 이 건물도 아쿠아월드 못잖은 소중한 대전의 문화자원인데 말이다.
근대문화재의 보존과 활용보다는 당장 원도심 활성화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부분에 방점을 찍고 보더라도 대전시의 아쿠아월드 청사진이 실현가능하려면 몇 가지 생각해 볼 문제들이 있다. 원도심 활성화와 상인들의 생존권, 희귀물고기 보호 같은 명분에 떠밀려 무리하게 진행하다보면 또다시 실패를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우선 아쿠아월드 인수에 앞서 치밀한 사업타당성 검토가 필요하다. 현재 용역결과처럼 연 42만명의 관람객이 들어와 5년이면 흑자로 돌아선다는 단순계산만으로는 곤란하다. 2009년 아쿠아월드 조성당시 대전발전연구원이 내놓은 보고서에서도 연간 80만명의 관람객이 지역을 찾아와 2382억원의 경제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었다. 그런데도 이 지경이 되지 않았나.
시는 사업적 타당성은 충분한지, 과다한 수요예측은 없는지 따져본 뒤 예산지출의 우선순위를 정해 전략적으로 인수작업에 뛰어들어야 할 것이다. 축구장 2배반 크기의 아쿠아플라넷이 여수세계박람회에서 '국내최대 규모'라고 홍보하는데 대전 아쿠아월드가 진짜 국내최대인지, 다른 지역을 능가하는 볼거리가 있는지, 전국적 명소가 될 수는 있을지 꼼꼼히 짚어봐야 한다.
교통문제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용역결과처럼 아쿠아월드가 흑자시설이 되려면 연 42만명이 관람해야하는데 이 사람들을 수용하려면 교통영향평가부터 제대로 이뤄져야한다. 2010년 12월31일 개장 후 첫 일요일에 7만 명, 평일에 3만명의 관람객이 몰렸는데도 보문산은 물론 대전도심까지 아수라장이 됐었다. 좁은 진입로와 부족한 주차시설에 대한 확실한 대책 없이 섣불리 관람객 42만명 운운할 게 아니다.
아쿠아월드가 전국적 명소가 되려면 시간이 걸리더라도 중장기 계획이 필요하다. 연간 수십만명이 아쿠아월드를 찾아 수천억원의 경제유발효과를 발생시켜 원도심 활성화와 지역경제에 기여할 것이라는 부풀리기용 장밋빛 청사진 말고 실현가능한 구체적 계획이 마련되어야한다. 시는 실질적 수요창출과 교통처리 대책, 주변시설과의 연계 방안을 내놔야 한다.
동물원과 식물원, 놀이시설을 갖춘 오월드는 1년에 몇 차례씩 갈 수 있겠지만 대전시민들이 아쿠아월드를 1년에 서너 번씩 갈지는 모르겠다. 서울, 대구, 부산, 여수, 울진 등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아쿠아리움이 많은데 전국단위 관람객이 물밀듯 밀려올지도 의문이다. 교육적 공간인 만큼 볼거리가 풍부하고 접근이 편리해야하며 전시내용에 대한 업그레이드도 필수니 관리운영비도 적잖이 들어갈 것이다.
아쿠아월드는 기업주의 무리한 사업추진과 편법ㆍ특혜를 두려워하지 않은 전임 단체장들의 과욕이 빚어낸 실패작이다. 주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대전시가 팔 걷고 나서는 것은 좋지만 덥석 매입만 해놓고 감당 못한다면 제2의 아쿠아월드 사태가 뻔하다. 대전의 역사ㆍ문화적 가치를 담은 근대건축물 보존보다 민간상업시설인 아쿠아월드 살리기를 택한 대전시는 아쿠아월드를 왜, 어떻게 살려낼지 제대로 보여줘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