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8대 총선의 경우 자유선진당 소속의 현역 국회의원이 5명인 상황에서 같은당 소속의 염 시장과 수시로 정책적 공조나 지원 요청이 가능했지만, 선진당 소속의 국회의원이 전멸하며 친정을 잃은 염홍철 대전시장의 입장에서는 19대 국회의원 당선자들간의 공조가 그 어느때 보다도 긴밀하기 때문이다.
이전에도 시 차원에서 국회의원들과의 간담회를 통해 공조 논의는 있어왔지만, 당이 다른 현역 단체장과 각종 현안마다 첨예한 대립을 빚어온 양당 소속 국회의원 당선자들이라는 점에서 원활한 정책 공조 가능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이날 간담회에서 시는 현안사업인 과학벨트 추진을 비롯해 충남도청사이전 부지활용 방안, 충청권 광역 철도망, 그리고 홍도육교 지하화 사업과 관련한 초당적 협력을 요청하고, 당선자들의 공약을 함께 논의한다는 계획이다.
대전시 관계자는 “아직은 당선자들이 정당내 보직이나 상임위 소속이 안된 상태이기 때문에 당선자와 시와의 스킨십을 위한 자리”라며 “지역 발전을 위해 논의하는 자리지 정치적 만남은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무엇보다 시가 지난 3월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발표한 지역의 현안 정책과제 25건 가운데 상당수가 각 정당이 내세운 지역 공약과도 맞물려 있어 다른 어느때보다도 정책적 교감이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새누리당 박성효(대덕구) 당선자나 이장우(동구) 당선자가 전직 시장과 구청장이라는 점과 염 시장과 개인적으로 강창희(중구) 당선자와의 막역한 관계 역시, 초당적인 시 현안 공조에 대해 기대감을 더해준다.
한때 같은당 소속이었던 민주통합당의 이상민(대전유성) 당선자와 4선의원으로 시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온 박병석(대전서갑)당선자와의 관계 역시 대전시와의 정책 공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시 관계자는 “소속정당과 정치적 관점을 배제하고 지역 발전차원에서 의견을 교환한다면 충분히 의미있는 자리가 될 것”이라며 “효문화진흥원 유치와 같이 당은 다르지만 충분히 현안 협력이 가능한 만큼 연 3회 이상의 만남을 개최해 정치권의 협력을 요청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다른 시각도 있다. 지금은 당선자들이 국회 등원 전, 일명 '허니문'기간으로 지역현안에 대해 갈등보다는 협조적인 모습을 보일 수 밖에 없겠지만, 향후 정국 변화와 정당별로 정치적인 이해관계가 얽힐 경우, 염홍철 시장과의 '교류협력'분위기가 어떤식으로 변화할 지는 아무도 장담할 수 없다는 분석이다.
오희룡 기자 huil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