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 전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자신이 대통령에 당선되면 여야 모두로부터 견제와 협력을 받는 대통령이 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 의원은 “장관 등 국회 청문회 대상인 고위직을 임명할 때 국회 상임위의 의결을 거치고, 국무총리의 장관 임명제청권을 반드시 지키겠다”면서 “개헌을 통해 예산편성권 자체를 국회로 넘기는 방안도 추진하겠다”며 국회 입지 강화에 방점을 뒀다.
정 전 대표는 “대통령 친인척과 측근의 권력형 비리 수사를 위해 상설 특검을 설치하고 현재 대통령의 지휘를 받는 감사원을 국회로 이관하도록 헌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이재오 의원이 제안한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에 대해선 “대통령의 임기를 연장하는 것으로, 과연 국민이 원하는 것인지 생각하게 된다”며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이를 두고 유력 대권주자인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을 겨냥한 것 아니냐는 말이 나왔다. 박 위원장을 비롯한 친박계 인사들은 4년 중임제에 대해 대체적으로 선호하는 편이다.
정당 개혁과 관련해서는 “중앙당과 당 대표를 없애 원내대표가 당을 지휘하도록 함으로써 국회 중심으로 정당을 운영하고 정당의 후보 추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김재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