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만 대한지적공사 대전충남본부장 |
의자왕은 백제 무왕의 맏아들로 어릴 적부터 효성이 극진하고 형제간에 우애도 각별하여 공자(孔子)의 제자 중 가장 효심이 깊은 증자(曾子)와 비견될 만큼 그의 효성은 특별했다.
또한 성품이 용감하고 대담하여 결단력이 있었으며 매우 슬기로워 훗날 왕이 되어서도 이름대로 의(義)롭고 자비(慈)로운 정치를 펼쳤다. 또한 당과 왜와 우호적인 외교관계를 유지했으며 이웃 나라 신라를 거침없이 정벌하는 용맹함도 보여줬다.
“우리처럼 작은 나라가 대국(大國)의 심기를 잘못 건드려 혹시 위험하지 않을까?”
당시 강국이던 백제를 두고 신라의 임금 진덕여왕이 걱정하며 한 말이다. 이렇듯 의자왕은 신라가 감히 맞서 싸울 수 없을 만큼 강한 나라를 만들고 있었다. 그렇다면 백제가 갑자기 멸망한 이유는 무엇인가? 의자왕 집권 15년이 지날 무렵 그는 태자궁을 사치스럽게 치장하는 등 치세에 흐트러짐을 보인다.
역사기록을 살펴보면 경국지색의 출현과 여러 가지 흉흉한 사건들을 나열하고 있지만 이를 모두 믿을 수는 없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백제 말 왕권에 대한 지배층의 반발이 존재했음은 분명 사실로 보인다.
이를 틈타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침입한다. 고구려와 동맹을 맺고 신라를 수시로 압박한 결과였다. 당나라 소정방의 13만 대군은 바다를 건너 인천으로, 신라 김유신의 5만 군은 동부전선으로 빠르게 돌파해 왔다. 예상치 못한 공격에 70평생 전쟁으로 잔뼈가 굵은 백전노장 의자왕도 매우 당황해 한다. 계백과 5000 결사대를 황산벌로 보내 신라군과 맞서게 했지만 중과부적으로 이틀 만에 완패하고 곧바로 사비성은 당군에게 함락된다.
백제는 고대국가 중 최초로 국사편찬과 불교를 수용했을 만큼 문화가 발달했지만 승자의 유린정책으로 전해 내려오는 문건과 유물은 거의 없다.
이러한 문화의 격랑 중에도 남아 있는 백제 유적이 있다. 바로 국보 9호로 지정된 정림사지 5층 석탑이다. 한때 당의 장수 소정방의 기록이 새겨져 있다하여 '평제탑(平濟塔)'이란 오명이 붙었던 적도 있었으나 후대 역사가들에 의해 백제시대 탑으로 밝혀졌다.
현재는 탑을 포함한 정림사지가 복원 중이다. 문화재의 복원은 민족의 역사를 시각화 하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다. 자손들에게 백제문화의 자부심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문화재의 예술적 가치를 영구 보존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여기에는 최첨단 공간정보 기술인 3D정밀 실측이 매우 유용할 것이다.
현재의 공간정보 기술은 ㎜단위까지 위치정보 제공이 가능하며 정밀실측 후 3D영상 제작 또한 가능하다. 대한지적공사는 얼마 전 정림사지 5층 석탑과 왕흥사 가마터를 정밀 실측한 바 있다. 이외에도 명동성당을 시작으로 주요건물과 문화재의 예술적 가치를 영구 보존할 수 있도록 3D영상제작을 추진 중이다.
찬란한 문화가 융성했던 백제였지만 우리 도내에는 변변한 백제 건축양식 하나 없고 관련 문서와 자료 또한 찾아보기 힘들다. 일본 고대 사찰의 효시가 다름 아닌 백제의 '정림사' 인데도 말이다.
현재 백제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적으로 알리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또 다른 백제의 도읍 한성(서울)에서도 풍납토성의 체계적인 발굴과 복원을 준비 중이라니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역사가 없으면 민족의 미래도 없다. 백제의 자존심이자 우리도의 자긍심인 이곳 문화재의 완전한 복원을 소망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