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의 경우는 아예 생산을 못하는 경우지만 다양한 제품을 생산하고도 시장 정착에 실패한 사례도 많다. 현재 식품업계에서 생산 중인 스낵, 음료 등도 쌀 수요를 늘리는 아이디어 차원에서 맴도는 실정이다. 85%를 넘는 국내산 쌀 투입액 비중을 자랑하지만 관련 제품의 수요가 저조해 상당수 업계는 고전을 면치 못하는 현실이다.
2년 전 제품화에 성공한 충남의 머핀과 파운드케이크, 식빵의 시행착오는 예산 미확보나 학교급식 활용 계획의 무산 등에서 먼저 원인을 찾는다. 그보다 밀가루의 영역을 허무는 실험적인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닐지도 생각해볼 일이다. 국내 시장에서 쌀국수 등 면류는 주류, 떡류, 쌀과자류와 함께 비교적 수요가 많은 품목에 해당한다.
더욱 문제는 쌀 제품 등장으로 소비자 선택의 폭이 넓어졌음에도 발전전략이 거의 전무하다는 점이다. 최근 국내산 쌀의 수급이 균형을 맞춤에 따라 바뀐 정책 또한 쌀 가공산업의 전망을 어둡게 하는 한 원인이 되고 있다는 보도다. 가공용 쌀의 단가나 공급량은 예측 가능해야 한다. 가공업체에 정부 비축미를 무상 지원한 일본의 사례는 참고할 만하다.
매년 소비량이 2%씩 감소하는 쌀은 우리 농업의 근간을 이룬다. 충남도 농업기술원이 쌀 제품 생산에 매달린 중요한 이유도 여기에 있을 것이다. 국내산 정부양곡 쌀의 단가는 수입쌀의 3배, 제분용 밀의 4배에 이르러 가격 경쟁력에서 떨어진다. 쌀 소비기반 유지라는 당위성 하나만으로 쌀 가공산업을 지탱할 수 없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그 표본적인 예가 가공식품을 개발만 한 채 제품 생산에 착수하지 못한 충남 쌀국수의 경우라 생각한다. 가공용 쌀 공급에 대한 중장기 대책, 공공식당의 쌀 가공식품 취급 비율 확대, 가공산업 지원 미흡 등 구조적인 부문은 결국 정책으로, 또 쌀 가공산업 육성을 위한 법률 보완 등으로 풀어야 한다고 본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