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욱 기대되는 것은 23일 안희정 지사와 김종성 교육감, 박희원 대전충남경영자총협회장이 이성규 고용공단 이사장과 '장애인 고용증진 협약'을 맺었다는 점이다. 도청과 교육청, 기업체와 공단이 장애인 고용에 대한 법적ㆍ사회적 책임을 인식하고 장애인 고용 기반을 만들고 가꾸는데 적극 지원한다는 내용의 협약이다. 실질적인 성과로 이어져 장애인을 위한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얼마 전 정부는 정부 부처 20곳 30개 직위에 중증 장애인 공무원을 선발한다고 밝혔다. 정부가 앞장서 장애인을 채용하는 등 장애인 고용을 독려하고 있지만 정작 그 많은 민간기업의 장애인 고용 상황은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장애인 의무고용 제도가 있다고는 하나 사실상 유명무실하다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기업들은 근로조건이 장애인이 견디기엔 너무 힘들어서라는 식으로 들러 대서는 안 된다.
기업의 사회적 책무를 생각한다면, 일의 능률과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장애인 채용을 기피하는 것은 기업의 후진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기업은 생산 효율도 중시해야겠지만 윤리경영과 상생번영을 실천해야 하는 책임도 있는 것이다. 경영자총협회의 협약 참여가 지역기업 경영자들이 장애인 고용에 좀 더 열린 자세를 갖는 전환점이 돼주길 바란다.
장애인 일자리 창출은 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관심과 노력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일자리를 창출하고 기업의 고용 확대를 설득하고 독려해야 할 것이다. 장애인ㆍ비장애인 차별 없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사회가 공정한 사회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