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좋은 방법은 전국 꼴찌인 충남지역 상수도 보급률을 높이는 것이다. 상수도 보급률 82.4%로 전국 최하위 수준인 충남도의 경우는 특히 그렇다. 보급률이 최저인 청양군은 63.2%에 불과하다. 도내 읍ㆍ면지역 사정은 더 초라하다. 집계에 포함됐더라도 마을상수도 등 간이상수도는 안전과 위생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다.
사건이 발생한 해당 마을 간이상수도 시설은 폐쇄하고 지방상수도를 도입한다고 한다. 홍성지역은 6개 읍ㆍ면의 구제역 매몰지에 대한 상수도 보급도 추진하고 있었다. 이 두 사례와 같은 식수 안전에 치명적인 일은 지역에서 언제든 재발할 수 있다. 이번 사건을 통해 드러났듯이 물탱크 관리인이 가끔 둘러보고 가는 게 관리의 전부다.
게다가 도내 농촌지역 음용 지하수는 급속히 나빠지는 추세다. 일부 지역의 사례지만 먹는 물이 자연방사성 물질로 오염돼 있다는 조사 결과도 나와 있다. 하지만 식수 부적합 판정을 받아도 대체 상수 개발 등이 어려워 당장 먹을 물이 없다는 게 큰 문제다. 어렵더라도 답은 결국 지방상수도에서 찾아야 한다.
그리고 그 대안 하나가 상수도 통합 운영이다. 급수 인구가 얼마 되지 않은데 지방 행정구역별로 상수도 사업을 따로 펴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지역은 권역별로, 또는 인접지역의 경우 대전과 충북과도 상수도 통합을 서둘러 낭비적 요소를 없앨 수 있다. 통합 권역별로 운영하면 수도서비스 분야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물론 그렇게 해도 여전히 높은 생산원가와 낮은 요금 구조를 완전히 깰 수는 없다. 하수 예산의 20%에 불과한 상수도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야 하는 이유다. 지방상수도 사업의 지지부진은 충남도가 농업도여서만은 아니다. 지자체 고유 수익사무라는 이유로 중앙정부가 계획적인 투자에 소홀한 것도 원인이다. '도시화'에만 미룰 일은 아니다. 충남의 상수도 보급률을 제주(100%)나 경기 수준(96%), 최소한 전국 평균(95%)까지는 끌어올려야 할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