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시는 아산 신도시와 황해경제자유구역 등 대규모 개발사업의 취소와 축소되고, 목표인구 산정에 대한 기준이 강화돼 목표인구 축소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는 행정구역 전체 면적 55만7210㎢에 시가화 예정용지 8만1891㎢의 목표연도 2025년 까지 1단계 구간인 2006~2010년 44만명, 2단계 2011~2015년 62만명, 3단계 2016년~2020년 64만명, 2021~2025년 65만명이 거주하는 도시기본계획을 수립했다.
그러나 도시 성장 둔화와 개발사업 취소로 1단계 목표인구에 비해 실제 인구가 62.4%에 불과하는 등 실제 인구가 목표인구에 크게 떨어지면서 2025년 목표인구 축소는 불가피한 실정이다.
1단계 44만명인 목표인구는 중앙생활권 19만28000명이지만 실제인구는 64.9%인 12만5080명이고, 북부생활권은 목표대비 50.2%, 동부생활권 70.3%, 서부 생활권 49.6%로 목표에 크게 떨어지고 있다.
시는 개발 가능지역의 조정 가능인구를 신도시 2단계 유입인구를 10만7800명에서 2만2800명으로 대폭 축소하고, 초사지구 도시개발 사업지구(2584명)와 밀두지구(5852명), 온양중심상권 재정비 촉진지구(5146명), 황해경제자유구역(3만2300명), 기타 서부 산업단지(7만3900명)등으로 보고있다.
시는 도시기본계획 변경에 도시발전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영인산 복합레저타운과 영상콘텐츠 복합단지 등을 반영하고, 개발계획이 취소내지 축소되는 지역의 성장력 약화에 따른 새로운 성장동력을 반영할 예정이다.
그러나 목표인구 축소가 장래 도시성장 축소에 따른 시민들의 실망감이 발생하고, 시가화 예정용지 축소로 개발가용지 축소 될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고민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도시관리계획 재정비때 2015년 목표인구를 62만명이 아닌 실제 인구를 반영한 43만명에 대해서만 계획이 수립됐다”며 “감사원에서도 지적했듯이 시ㆍ군이 목표인구를 과도하게 책정해 이를 정확히 적용해야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아산=남정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