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정당과 당선자들은 민심의 소재를 정확히 읽고 겸허히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전국적으로 지역주의가 일부 완화된 가운데 쏠림 현상과 '바람'이 재연된 점은 여전했다. 12월 대통령선거의 전초전으로 치러진 탓에 상당수 지역에서 인물과 정책을 묻지 않은 투표 성향을 보여 아쉬움으로 남는다. 미디어 선거는 오히려 실종됐다.
그러면서 어느 정당, 어느 당선자도 자만하면 안 된다는 사실을 유권자들은 표로 선명하게 보여줬다. 승패를 떠나 유권자의 표심에는 정권 심판, 야당 심판의 상반된 성격이 혼재돼 있다고 봐야 한다. 중도일보 여론조사에서 나타났듯이 지역민 절반 가량이 지역정당 필요성을 말하면서도 지역정당을 표방한 자유선진당이 쇠퇴했다. 충청권 전체 25개 지역구 당선자에게 미리 던지는 냉엄한 경고로 삼아야 할 부분이다.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막론, 여야 정치권은 퇴영적인 관행을 버리고 선진국형 정치문화 정착이라는 공동 목표를 향해 뛰어야 한다. 의석수의 몇 석 많고 적음을 가리지 않고, 책임 있는 여당과 당당한 국정 파트너인 야당 역할에는 경중이 다를 수 없는 것이다. 유권자들도 혹시 남은 소외감이 있다면 지역발전을 향한 참여의식으로 전환해야 바람직하다고 본다. 세종시 등의 높은 투표율로 존재감을 보여준 것처럼 말이다.
또한 이제부터는 포용력과 평상심으로 선거 이후를 생각해야 한다. 지역민 다수의 가장 큰 관심사는 경제다. 총선보다 불확실한 경제를 실상 더 걱정하고 있었다. 본연의 의미가 상실된 선거 과정에서 이러한 요구가 제대로 수렴되거나 반영되지 않았을 뿐이다. 지역민이 바라는 건 재원을 생각하지 않은 대중영합적인 복지공약이 아니다. 이후 빠르게 전환될 대선 국면에서는 경제 욕구, 지역발전 염원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정치력을 발휘해야 한다.
전국적으로든 지역적으로든 19대 총선으로 정치적 이득을 본 정당과 그렇지 않은 정당이 있다. 개표 결과, 충청권은 정치구도의 큰 변화가 예견되지만 지역 현안 앞에 여야가 있을 수 없다. 당선에 쏟았던 힘을 국가적 난제와 지역 현안 해결, 특히 민생 안정, 지역경제 회생을 위해 돌려주기 바란다. 최초의 세종시장, 세종시교육감 당선자의 어깨도 가볍지 않다. 대장정의 막이 내리자마자 지역정가는 새로운 시험대에 올랐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