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지역의 항만은 2004년 평택ㆍ당진항이라는 하나의 항만으로 지정된 이후 급격하게 발전해 이미 2010년 국내 5대 항만에 진입하는 등 가파른 물동량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동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당진지역의 항만에는 이에 상응하는 행정서비스 기관이 없어 항만을 이용하는 선주나 선원, 화물주, 관련 기업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다.
항만의 화물 수ㆍ출입, 선박의 입ㆍ출항을 지원하는 행정기관인 세관, 출입국관리사무소, 검역소를 비롯한 지방해양항만청, 해양경찰서 등의 기관들이 모두 평택지역에 밀집해 있고 당진지역에는 단일항만이라는 이유로 관련 기관이 전무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당진지역에 입항하는 선박과 관련 기업, 민원인들은 각종 인ㆍ허가 업무, 민원처리를 위해 서해대교를 넘어 왕복 60㎞가 넘는 거리를 이동해 업무 처리를 하다 보니 비용과 시간의 손실이 크다.
실제로 일부 화물의 경우 검역원이 늦게 도착해 수십 명의 작업인부와 중장비가 대기하고 선원의 승선과 하선, 교대를 지원해 주는 출입국관리사무소가 평택 쪽에만 있어 당진지역 항만을 방문하는 연간 5만여 명의 선원이 선상에만 머물다 돌아가는 등 당진항 전체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는 지적이다.
이렇다보니 당진 지역의 업체에서는 항만 이용에 불편이 많아 CㆍIㆍQ(세관, 출입국관리사무소, 검역소)기관이 설치돼야 한다는 여론이 높다.
실제 당진에서 항만관련 업체를 경영하는 이모(54)씨는 “서류 하나를 제출하려해도 평택까지 다녀와야 하기 때문에 정해진 시간에 일처리를 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손승하 항만수산과장은 “당진항은 현재 26선석이 운영되고 있지만 2020년까지 39선석으로 확충할 예정으로 발생될 예상 물동량은 약 7500만t”이라며 “이를 경제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항만운영지원센터의 건립과 더불어 항만 관련 업체의 신속한 업무처리를 위해 무엇보다 CㆍIㆍQ기관의 설치가 급선무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종식 기자 leejs6604@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