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문화체육관광부가 2009년부터 지역내 문화 유산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지원하는 사업으로 홍성은 '홍주성 천년여행길'을 주제로 탐방로를 조성할 계획이다.
하지만 이미 홍성은 내포문화 숲길과 솔바람길 조성 등에 참여해 조성 작업이 한창이다. 한정된 자원을 활용해 사업을 추진하려다보니 구간 중복 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이같은 현상은 홍성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명칭만 달리한 '길'조성 사업이 도내 곳곳에서 펼쳐지고 있기 때문이다.
공주 마곡사를 시작으로 조성된 솔바람길은 올해 천안, 서산 등 6개 지역에서 완공될 예정이다. 또 내년에는 계룡, 금산 등 4개 지역에 추가 조성되고 도는 전 시ㆍ군에 솔바람길을 모두 설치할 계획이다.
4월에는 충남을 대표하는 대표 옛길에 이야기를 접목한 '충남연가(忠南戀街)'조성도 마무리된다.
새로운 길을 조성한 것은 아니지만 태안을 포함해 공주와 부여의 백제 유적, 천안, 연기 등의 옛 고성 등 3개 코스 586㎞로 도내 전역에 걸쳐 있다.
이밖에도 홍성과 예산, 서산, 당진 등 4개 시ㆍ군을 잇는 내포문화숲길 330㎞ 등 각 지자체마다 길 조성 사업에 열을 올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길 조성이 경쟁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은 정부 각 부처는 물론 지자체마자 길 조성 사업에 뛰어들었기 때문이다.
2008년 정부의 녹색성장 방침에 문화체육관광부와 환경부, 국토해양부, 산림청과 국립공원관리공단 모두 5곳에서 길 만들기 사업을 시작했다. 각 부처마다 사업 공모를 통해 사업비를 지원하고 있어 각 지자체는 경쟁적으로 사업에 뛰어들 수 밖에 없다.
또 관광객 유치를 위해 지자체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하면서 길 조성사업은 포화상태에 이르렀다.
윤정준 (사)한국의 길과 문화 이사는 “길 조성사업에 너도나도 뛰어들어 현재는 포화상태에 이르렀다”며 “더 이상 예산낭비를 막기 위해서라도 조정기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대부분 길 조성 사업이 관 주도로 진행되면서 마을 주민들의 의견이 제대로 반영되지 않아 주민 불편도 제기된다. 무엇보다 보호가 필요한 자연 자원에 인위적으로 길을 내면서 자연훼손 논란도 우려된다.
도 관계자는 “길에 대한 관심으로 지자체가 개발에 나선데다 정부의 공모 사업까지 겹쳐 각 지역에서 길 조성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며 “이제 사업 성과 등을 따져봐야 할 시점인 것 같다”고 말했다.
이시우 기자 jab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