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주환 대전사회복지관협회장 |
선거가 시작되기 전, 각 정당에서는 '개혁공천'이라는 말을 입에서 놓은 적이 없었지만 결국은 그렇고 그런 공천으로 끝났다. 이번에도 역시 국민은 없었다. 부분적으로 국민이 참여하는 경선이 있었다고는 하지만, 특정인이나 집단의 이해관계가 절대적인 기준으로 작용한 형편없는 결과를 내놓고 말았다.
훌륭한 인물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사지(死地)나 다름없는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오로지 국가적 가치의 재건을 위해 뛰는 이들이 있다. 계란으로 바위치기 같은 싸움에 기꺼이 몸을 던진 이들도 있다. 그러나 국민들의 기대를 충족시키기에는 한량없이 모자라는 인물들이 그보다 훨씬 더 많다는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이번 공천의 다른 특징은 자기사람을 챙길 것인지 아니면 국가적 과제를 감당할 수 있는 인물을 공천할 것인지를 두고 고민하다가 결국은 자기사람 챙기는 쪽으로 결말이 났다는 점이다. 사회적 약자를 대변하는 인물이나 개혁적 인물들은 이런 저런 이유를 들어 당선권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배치됐다. 어떤 정당은 아예 그런 인물들을 찾아보기 어려운 공천을 해놓고도 의기가 양양하다. 비례대표 공천의 내용을 들여다보면 더욱 그렇다. 지금까지 조직적이고 의도적으로 외면당해 온 계층에 대한 배려를 기대했던 것 자체가 미련한 일이 되었다. 하나의 사례로, 이번에는 모든 정당들이 '사회복지에 대한 고단위 공약'들을 쏟아내는 걸로 보아서 사회복지분야에 대한 배려가 있을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사회복지에 관한 뜬금없는 약속들을 갑작스럽게 늘어놓고 있는 정당도, 마치 자신들이 당선되면 복지국가로의 개벽이라도 이루어낼 것처럼 떠벌이는 정당도 사회복지현장의 간절한 청원을 들은 척도 하지 않았다.
대학에서 사회복지와 관련된 강의를 하는 교수가 각 당에서 공천되었다고는 하지만, 사회복지제도에 대한 특이한 퇴행구조를 연출한 사람이거나 복지망국론을 직접 주창한 사람들이 포함된 것이어서 매우 실망스럽다. 사회복지를 폄하하고 능멸한 인물이 버젓이 포함된 명단을 보면서 사회복지현장은 그 깊이를 가늠하기조차 어려운 낙담의 늪에 빠졌다.
한 마디로 이번 선거판을 요약하면 '그들만의 잔치'라고 할 수 있다. 전혀 예상 못한 일은 아니지만 속이 부글거리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정치가 자신들만의 전유물이고, 공천도 자기들끼리만 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해서 그런지 이제는 국민이 나서서 이야기 하는 것조차 귀찮아하는 것 같다. 제주도나 소득의 양극화 따위에는 관심도 없다. 국민들이 토해내는 한숨의 근원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굳이 알려고 하지 않는다. 그들의 눈과 귀는 오직 여의도에 입성할 수 있는 방법에만 몰려있다.
그러나 이런 꼴이 싫다고 해서 4월 11일 국회의원 선거를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오늘의 정치현실은 사실 우리가 만든 것이다. 우리의 선택이 바르지 못했기 때문에 그 고통을 뒤집어쓰고 있는 것이다. 이번에도 국민을 위해 헌신하겠다는 다짐들이 난무할 터인데, 그 진정성을 냉정하게 가려내는 일과 국민의 눈높이에 자신을 맞추고 있는 사람을 골라내는 일은 절대적으로 우리 몫이다. 두 눈 부릅뜨고 참여해서 4월 11일을 '우리들의 잔칫날'로 만들어내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