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환경운동연합 등 전북시민단체가 지난 21일 개최한 물의 날 기념 정책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은 금강하구 생태계 복원을 위해 해수유통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전승수 전남대 교수는 “금강호 수질은 농업용수나 새만금 희석수로도 사용할 수 없는 상태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해관계가 얽힌 하구역 자치단체들은 물론 귀 막고 있는 정부도 새겨들을 만한 가치가 있다.
금강하구는 지금 해마다 11㎝ 이상 퇴적토가 쌓이고, 수질은 4등급으로 떨어져 농업용수로도 사용이 어려운 상태다. 주민들의 삶의 터전인 바다가 썩어 가면서 '서천 김' 생산이 급격히 줄었다. 해수유통이 생태계를 복원하고 주민 삶의 터전을 살리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는 서천군의 주장을 지역이기주의로 몰아붙일 게 아니다. 충남발전연구원 같은 연구기관 역시 해수유통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
군산시도 해수유통을 전향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전문가들은 “부분 해수유통에 따른 하구호 담수화는 유역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염분으로 농ㆍ공업용수 확보가 어려워질 것을 걱정하는 모양인데, 그건 서천도 마찬가지다. 그럼에도 서천군이 해수유통을 적극 주장하는 것은 그만큼 절박하다는 뜻이다.
서천 바다가 썩어가는 데 군산 바다라고 온전할 리 없을 것이다. 군산생태환경보전시민회 오동필 운영위원은 “강은 흘러야 한다는 자연철학을 기본으로 군산시도 해수유통이 지역 경제를 살리는 길임을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둘러 상생 방안을 찾아야 할 때다. 정부도 서천군의 해수유통 요구에 대해 진정성 있는 태도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