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계획은 거점지구 조성, 기초연구 환경, 과학기반 비즈니스 환경 구축 등 3개 부문과 중앙행정기관 및 지자체가 마련한 32개 세부과제로 구성됐다. 신동 둔곡지구는 개발 계획과 실시 계획을 연내 수립해 본격적인 개발에 들어간다. 인근 세종시에는 외국인 생활권 조성을 위한 개발을 본격화하고 외국대학 유치와 외국인학교 개교를 통해 세계적 수준의 교육 시설과 프로그램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충청권의 숙원사업이 비로소 윤곽을 드러낸 셈이다.
과학벨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계획도 나왔다. 인근 대학을 중심으로 '과학-비즈니스 융합 전문가(PSM) 양성과정'이 새로 만들어지며, 정부출연연구소와 대학이 보유한 사업화가 가능한 연구개발 성과들에 대한 후속연구도 진행된다. 이와 함께 과학벨트의 또 다른 한 축인 입주 기업에 대한 유치 기반을 닦는 사업도 시작된다. 관심의 초점인 연구단장은 공개 심포지엄과 평가위원 비공개 토론을 거쳐 5월 중 최종 선임된다.
정부의 시행계획이 나옴에 따라 대전과 충남은 과학벨트의 성공적인 정착은 물론 지역 미래 발전을 위한 구상을 서둘러야 하겠다. 무엇보다 과학벨트의 기초과학에서 나온 성과물이 대덕특구에서 응용과학으로, 또 지역 중소ㆍ벤처기업에서 산업화로 이어지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게 관건이다. 새로운 시스템 구축을 위한 지원체계를 갖춰야 한다. 그래야 과학벨트가 지역 기업에 든든한 뿌리가 될 수 있다.
이번 시행계획에 대전시와 충남도의 의견이 얼마나 반영됐는지 의문이다. 시민적 관심사인 과학벨트 부지 매입비와 관련해 정부의 언질이 여태껏 없는 것은 유감이다. 대전시는 과학벨트 사업 추진이 한편으로 시의 발전에 도움될 수 있도록 정부에 요구할 것은 강력히 요구해야 한다. 과학벨트는 기초과학 강국의 비전을 담은 국책사업이면서도 지역발전을 담보하는 동력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