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의 목적은 이번 계획의 첫머리에 얹은 '양극화 해소와 지속 가능한 성장'에 있다. 국가 주도로 진행된 대기업 위주의 경제개발 마인드를 이제 마감해야 한다. 대기업의 중소기업 영역 침투가 도를 넘었다는 것은 지역민들도 절감하고 있다. 대ㆍ중소기업 협력은 대기업의 양보를 전제로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다고 중소기업이 시혜적인 면에만 매달려야 한다는 뜻은 아니다. 제시된 대로 대기업은 전담조직과 평가 시스템 마련, 중소기업은 기술 혁신과 품질 및 가격 경쟁력 확보에 나서야 한다. 어떤 의미로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은 동반성장의 두 주체다. 동반성장협약을 맺더라도 기업 자율에만 맡기지 말고 충남도가 이행 점검에 나서는 등의 후속 조치를 다해야 할 것이다.
제조업 중심에서 범위를 넓힌 것은 올바른 방향이다. 건강한 기업생태계를 더 심화하려면 MRO(기업 소모성 자재)와 SSM(기업형 슈퍼마켓) 등 대기업의 중소기업 영역 침범을 거론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무엇이 중소기업 적합 업종인지를 선정하거나 권장하는 일이 사실 쉽지만은 않다.
또한 CEO뿐만 아니라 구성원, 나아가 경제단체장 등의 의식이 더불어 변해야 가능한 문제다. 중소기업이 뿌리기업처럼 튼실해야 대기업도 건실해지며 중소기업 경쟁력이 강화돼야 대기업 역시 경쟁력이 확보된다는 인식을 공유해야 한다. 이는 그저 이상(理想)이 아닌, 경쟁력 있는 기업문화 구축의 핵심을 이루는 부분이다.
그만큼 동반성장은 상생보다 한 차원 높고 어려운 경지라고 봐야 한다. 기업과 기업 간, 특히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공동 파이를 키운다는 문화가 자리잡아야 튼튼한 산업생태계도 만들어질 수 있다. 두 주체는 서로가 서로에 대해 성장의 엔진으로 생각해야지 정부나 충남도가 미니까 마지못해 따라가는 식이 되면 곤란하다. 끝으로 공기업을 대상으로도 이 같은 협약을 적극 권장해 봤으면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