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보다 수치상의 허수 내지 허구성이 없어야 지자체 대책과 체감하는 취업현실이 겉돌지 않는다. 지난해보다 일자리를 낮춰 잡은 대신 내실 있는 일자리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조례 제정 검토에서 나타났듯이 청년취업이 유난히 어려운 현실에서 여기에 특단의 노력을 기울인다는 방향은 맞다.
도 전체 실업률도 중요하지만 시급한 현안 하나가 평균 실업률의 2배에 가까운 청년실업 해소다. 사회에 첫발을 내딛자마자 실업자 대열에 서는 대졸자가 27%에 이른다는 통계도 있다. 게다가 청년층의 고용환경 개선에 일시적인 묘수는 통하지 않는다. 대졸자 50만명이 노동시장에 나오지만 정규직 일자리는 30만개에 불과한 현실을 타개해야 하는 실로 어려운 일이다.
구직자와 구인자가 겉도는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 해소는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 구인과 구직 사이의 정보 부족 해소에 중점을 둬야 한다. 그렇다고 근로빈곤층, 베이비붐 세대, 취업애로계층 등 취약계층의 사회적 일자리 창출에도 소홀함이 있어서는 안 된다. 일자리처럼 탁월한 복지도 드물다. 일자리가 없어지면 소외계층이 된다 해도 크게 틀림이 없다.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는 물론 말처럼 간단치가 않다. 올해는 공공기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또 민간 부문 확산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어떤 의미로 양질의 일자리는 취업자만이 아닌 지역의 미래와도 직결되는 사안이라 봐도 무방하다. 일자리 창출은 도내 경제기반 강화라는 인식을 갖자는 뜻이기도 하다.
기존의 자원만으로는 부족하다. 충남도가 제시한 사회적 기업 육성 지원, 외자와 민간기업 유치를 위한 고용 확대 등 다양한 방법이 망라돼야 한다. 보다 근본적으로는 지역경제 체질 개선,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 등이 전제돼야 한다. 따라서 지역 일자리 문제는 지역의 힘으로만 해결되지 않는다. 일자리는 도정과제이자 국정과제라는 증거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