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후쿠시마 원전사고 조사위원회 국제자문위원 자격으로 지난달 23~25일 사고현장을 방문했던 장순흥(한국원자력학회장) 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 교수는 “일본 정부가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이하 ICRP)가 권고한 비상대피 기준(20mSv/yr~100mSv/yr) 가운데 20mSv/yr(밀리시버트/년)를 적용, 대피인원이 많았다”며 “원전 근접지역을 제외하고는 옥내 대피하는 게 합리적이었다”고 평가했다.
국제방사선보호위원회(ICRP)는 외부인 소개(비상대피) 기준으로 방사선량을 연간 20~100mSv로 권고하고 있다.
일본은 20mSv/yr를 적용했으며 이에 따라 주면 11만명이 대피했다. 한국은 50mSv/yr를 기준으로 채택하고 있다.
장 교수는 “권고치 최대 방사선피폭량인 100mSv/yr도 인체영향을 규명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만약 일본이 100mSv를 적용했다면 대피인원은 수천명 수준으로 피해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장 교수는 “(원전사고 시) 방사성 물질이 격납고 밖으로 누출되지 않는 규정은 더욱 강화해야 하며, 또 비상대피 규정은 합리적 수준으로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장 교수는 후쿠시마 원전사고에 대해 ▲노심 용융에 대한 일본 정부의 늦은 발표로 자국민과 세계에 불안감 증폭 ▲후쿠시마 발전소 2호기에 대한 원인과 경과 분석 미흡 ▲현재 원자로 내부에 대한 실태 파악 필요 등을 문제점으로 꼽았다.
장순흥 교수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교훈을 삼아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원전사고에 대한 매뉴얼을 강화해야 하고 매뉴얼보다 더 중요한 것은 원전 운영인력에 대한 투자와 교육이 선행돼야 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권은남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