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도에 따르면 환경부는 지난해 1월 폐기물 처리시설을 지자체 단위가 아닌 79개 권역별로 나눠 관리하는 '폐기물 처리시설 중장기 최적화'전략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충남도도 지난해 5월 '폐기물 처리시설 최적화 전략'을 마련, 적극 추진 중이다.
'폐기물 처리시설 최적화'는 지자체별 소규모 시설 난립을 막는 한편 권역화ㆍ대규모화 함으로써 경제성을 확보하고 생활폐기물의 효율적인 처리를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환경부는 대전ㆍ충남권의 최적화를 7개 권역으로 설정했다.
대전을 1개 권역으로 나눴으며, 공주ㆍ연기, 천안, 아산ㆍ예산ㆍ홍성ㆍ청양, 서산ㆍ당진ㆍ태안, 보령ㆍ서천, 논산ㆍ금산ㆍ계룡ㆍ부여 등 충남을 6개 권역으로 묶었다.
금산군의 경우 대전 유성구 금고동 자원순환단지에 묶어 광역화하는 방안이 추진됐으나, 금산군이 물류비용 등의 이유로 대전보다 계룡을 선호하면서 논산ㆍ계룡ㆍ부여 권역에 배정됐다.
환경부는 이중 서산ㆍ당진ㆍ태안 권역이 가장 시급하다고 판단, 지난달 29일 서산시청에서 폐기물 처리시설 최적화 협의를 가졌다.
태안은 2020년까지 사용 가능한 소각시설이 있는 반면, 서산ㆍ당진의 경우 시세 확장으로 쓰레기 발생량이 매년 늘고 있지만, 소각시설이 없어 그대로 매립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서산ㆍ당진ㆍ태안 권역에는 하루 처리량 200t 규모의 새로운 소각시설 건립이 추진 중이다.
그러나, 서산ㆍ당진ㆍ태안 권역의 최적화 협의차 마련된 이날 간담회는 환경부 추진단의 설명을 듣는 자리로 전락했다. 3개 시ㆍ군 중 폐기물 처리시설을 건립하겠다고 먼저 얘기를 꺼낸 곳은 없었던 것.
이는 다른 지역에서 발생한 쓰레기까지 처리하는 것이 주민정서상 이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처럼 첫 협의부터 난항을 보이자 도는 난감해 하고 있다.
환경부의 설정안대로 최적화가 안되면, 국비지원 인센티브(30%→50%)도 받지 못할 뿐더러 향후 정부 사업에서도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 대책 마련에 분주하다.
도 관계자는 “폐기물 처리시설 최적화 첫 협의를 가졌으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선뜻 나서는 곳이 없었다”며 “환경부가 빨리 하자는 의견이어서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