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 전체 740개교 중 3곳만 주5일 수업제를 시행하지 않지만, 시행 첫날 625곳만 문을 열고 토요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사진은 지난 3일 토요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인 농구교실에 참여한 아산배방중 학생들. [사진 제공=충남교육청] |
교장은 “2일 개학을 하다 보니 시간적 여유가 없어 희망자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다. 다음 주는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B초등학교 역시 다르지 않다. 이 학교는 교장과 교감과 부장교사들이 총 출동했다. 운동장에는 20여 명의 학생이 강사의 지도로 축구 경기를 하고 있었다.
이 학교 교장은 “몇 가지 프로그램을 마련해 참여 희망 학생을 파악 중”이라며 “정착하려면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비교적 규모가 있는 C중학교도 첫날에는 농구와 배구, 탁구 등 기존의 방과 후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참여인원은 70여 명 수준이다. 학교 자체 운영프로그램에 이어 가족체험과 지역연계 프로그램 등을 준비 중이지만, 쉽지 않은 분위기다.
C중학교 담당 부장은 “주5일제 정착을 위해선 학부모와 학생, 지역사회의 관심과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서구의 D중학교도 고민이다.
D중 교감은 “자율 시행이 원칙이다. 우리학교는 의견수렴을 했더니 가족끼리 보낸다는 결과가 많았다”고 말했다.
시행 첫날인 본보 기자가 동구와 중구, 서구의 초ㆍ중 4곳을 직접 취재한 결과, 대부분 학교에서 주5일 수업제 대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대전교육청은 지난해 7월에서 올해 2월까지 준비 착수해 나름의 대책을 수립했다.
학부모 설문조사와 실태조사ㆍ분석, 주5일수업제 시범운영 학교 운영, 교육과정 편성모형 개발을 위한 정책연구과제와 교직원 연수 추진 등이다. 올 들어서도 주5일 수업제 컨설팅 지원단을 조직ㆍ운영하고, 단위학교 추진계획 컨설팅 지원과 지역사회 네트워크 협력ㆍ연계 체제 구축, 지역사회와 학부모 홍보 등을 추진했다.
하지만, 6개월 동안의 노력에도 부실 투성이다. 우선, 참여율이 낮다. 준비한다고 했지만, 첫 출발부터 불안하다. 가정통신문을 발송하고 프로그램 안내를 하지 않은 건 아니다. 강제사항이 아니다 보니 신청하고도 참여하지 않는 학생도 적지 않다.
A초의 한 학생은 “따로 신청한 건 없다. 그냥 친구들과 놀기 위해 학교에 와서 조금 놀다가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A초 교장은 “홍보가 늦은 이유도 있다. 하지만, 참여 학생이 적다 보니 시간도 단축되고 아예 시작도 못 한 프로그램도 있다”고 말했다.
이 학교 학부모 정모(40)씨는 “준비기간이 많았을텐데, 아쉽다. 학교 프로그램은 큰 돈이 들지 않아 좋은데, 제대로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프로그램도 부족하다. 대부분의 학교는 기존에 운영하던 방과후 프로그램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다.
그나마 B초는 풍물과 미술, 독서논술, 토우, 컴퓨터, 축구, 배드민턴 등 다른 학교와 비교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하지만, 학교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 외 가족 또는 지역사회와의 연계프로그램은 없다. B초 교장은 “부담과 책임을 학교에 떠넘겨선 안 된다”며 “자녀가 있는 교사들도 어려운 건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 학교 학생의 부모인 김모(35)씨는 “맞벌이에다, 출ㆍ퇴근 시간도 일정하지 않아 자녀를 돌봐줄 곳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방임에 대한 우려도 공통점이다.
중학생 서모(13)군은 “학원에 가겠다고 하는 아이도 있고, 그냥 놀겠다는 아이도 있다. 아직 잘 모르겠다. 친구들과 얘기를 많이 하고 있다”고 말했다.
C중 교장은 “둔산은 학원이라도 가지만, 형편이 어려운 학생들은 갈 곳이 없다”며 “저소득층 학생의 방임 문제를 감안해 어느 정도 강제성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