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충남 농촌이 도시인의 새로운 삶의 정착지로서 메리트가 떨어지는 이유 중에는 비싼 땅값도 무시할 수 없다. 마침 23일 농림수산부가 귀농·귀촌 종합대책을 내놓았는데, 아무리 귀농 창업자금을 지원한다 해도 신용도나 담보능력이 부족한 귀농자가 수두룩하다. 농지와 주택 및 농기계 구입 자금 등 피부에 와닿는 지원이 요구되는 이유다.
보도된 대로 '거주기간이 오래될수록 지속적으로 거주할 가능성이 크다.' 귀농자들이 정착에 실패하고 다시 도시로 떠나는 원인을 여기에서도 발견하게 된다. 다른 것보다 초기 지원이 집중적이지 못했기 때문이다. 단순 전원회귀가 아니라면, 농업 창업으로 연결해 소득을 창출할 기반 확보가 어렵다면 농촌에 뿌리박고 살기 힘들 것이 뻔하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농가에 정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원이다. 이는 서천, 부여, 홍성, 보령, 공주처럼 귀농인구가 비교적 많거나 그렇지 않은 지자체이거나 마찬가지다. 생업형 귀농자, 베이비붐 세대 은퇴자, 청년 귀농자, 실직자 등 귀농 유형에 따른 눈높이 교육과 지원도 이뤄져야 한다. 준비 없는 귀농·귀촌일수록 지자체의 관심이 인구 유인책에서 끝나고 말면 도시로 유턴할 확률은 그만큼 높아진다.
더구나 충남 농촌의 현주소를 생각할 때 젊은 귀농, 귀농리더의 유입을 통한 농산업 CEO 양성까지 이뤄져야 바람직하다. 귀농·귀촌 사례가 압도적으로 많은 서천과 같은 경우는 지금이라도 본격 시행할 만하다고 본다. 이 역시 지역에 빨리 뿌리내리도록 돕는 시스템 유무에 달려 있다.
충남의 경우 3농 혁신, FTA에 대응한 농어업 경쟁력 강화도 성공적인 귀농과 맥이 닿는다. 이는 기존의 농촌문제를 푸는 방법과도 겹치는 부분이다. 귀농·귀촌 가구 수가 많은 지역은 유인책과 지원책이 주효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일시적으로 귀촌·귀농 인구만 불어나서는 별 의미가 없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