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대전아쿠아월드의 휴업 예고가 지역 상인들에게 생계의 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 대전아쿠아월드가 27일부터 무기한 휴업이 결정되면서 인근의 한 식당이 관람객 대신 등산객을 상대로 영업하기 위해 리모델링 공사를 벌이고 있다. |
특히, 수족관 휴업은 지역의 기업과 상인들이 투자한 자금 550억원을 경제유발효과 없이 수장시키는 블랙홀이 될 우려가 제기된다.
대전아쿠아월드 입구에 위치한 600석 규모의 한 고깃집은 지난 21일부터 리모델링에 들어갔다.
그동안 수족관을 찾은 단체손님을 받으려고 넓은 홀에 30~40석 규모의 방을 운영했지만, 수족관 휴업이 예정되면서 보문산 등산객이라도 받을 수 있도록 홀 규모를 축소하는 것.
아쿠아월드 공영주차장 인근의 또 다른 음식점도 대사천복원사업의 폭포예정지를 고려해 위치를 정했지만, 사업이 취소되면서 업주 한 명이 음식 조리하고 서빙하는 나홀로 장사를 1년째 이어오고 있다.
또 대전아쿠아월드 내 입정상인들도 수족관 휴업 예고에 재기를 포기하고 생계를 위해 임시직을 전전하는 실정이다.
대전아쿠아월드 인근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한창복(55)씨는 “아쿠아월드와 대사천복원사업을 기대하고 상가를 사들여 식당을 차렸지만, 빚만 남았다”며 “이제 아쿠아월드 관람객보다 보문산등산객을 바라보고 장사를 하는 게 현실적이라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또 대전아쿠아월드 휴업은 중구 보문산과 원도심의 상권을 동시에 위축시킬 전망이다.
수족관 조성에 들어간 450억원은 개장 1년 만에 경제유발 효과가 사라지게 됐으며 상인들이 입점상가 분양을 위해 투자한 90억원도 효과 없이 물속에 수장되는 셈이다.
기대를 모았던 수족관이 무기한 휴업에 들어가면서 '원도심=투자기피지역'이라는 낙인효과마저 우려되는 실정이다. 반면, 휴업 후에도 대전아쿠아월드를 대상으로 가압류 60여 건과 민사·형사소송만 치열하게 진행될 전망이다.
대전아쿠아월드 입정상인 비상대책위원회 관계자는 “수족관 상가를 분양받은 상인 중 파산에 개인회생을 신청하거나 이혼 등의 후유증을 심각하게 겪고 있다”며 “더 바닥으로 떨어지기 전에 원도심과 지역 상인들을 위한 대책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