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대전도시철도공사는 내부 조사를 통해 위탁역 비정규직원 가운데 도시철도공사 직원 부인 4명이 근무하고 있는 정황을 포착하고 이들의 일괄 사직서를 받았다.
이는 도시철도 위탁역이 비정규직 33명이 해고를 당했다는 본보 보도가 나간 지난 8일 이후 도시철도 공사의 후속 조치다.
그동안 '낙하산'이 만연하다는 소문이 돌았을 뿐, 구체적인 명단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철도공사는 직원 부인 외에도 시청 고위직 공무원 친인척 등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이는 직원들에 대해서도 상황을 파악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도시철도공사는 전체 22개역 가운데 20곳을 위탁하고 있으며, 위탁역은 역장 권한에 따라 직원 채용 등이 이뤄지고 있다.
역장이 바뀔 때 직원 고용 승계를 하는 것에 대한 암묵적인 동의가 이뤄지지만 실질적으로는 1년단위의 계약직인만큼 상당수 교체가 있어왔다.
지난 1일을 전후해 11개 역사에서 33명이 교체된바 있다.
대전시 관계자는 “위탁역은 역장에게 권한이 주어지는 만큼 역장들이 자기사람 심기 차원의 인사를 하는 것을 묵인해 왔다”며 “법적으로는 큰 문제가 없지만 도의적인 부분에 있어서는 문제가 있는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대전참여자치연대도 22일 성명을 내고 대전시의 특별감사를 요청하고 나섰다.
대전참여자치연대는 “직원 부인의 사직처리는 비정규직중 일부를 도시철도공사 직원의 친인척을 채용한다는 얘기가 근거없는 소문이 아니라는 것이 확인된 셈”이라며 “직원채용과 관련된 의혹을 모두 밝혀야 하며 대전시는 도시철도공사와 모든 역사에 대한 특별감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대전시 감사관실은 이와 관련된 정황을 포착하고 감사를 위한 조사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대전도시철도 공사 관계자는 “위탁역들이 원칙적으로 도급에 의해 운영되는만큼 문제는 없다하더라도 원칙적으로 직원 부인이 역무원으로 근무하는 것은 도덕적 해이가 있다는 판단에서 이같이 처리하게 됐다”고 밝혔다.
김민영 기자 minyeong@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