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순택]선거의 해? 독서의 해

  • 오피니언
  • 데스크시각

[안순택]선거의 해? 독서의 해

[중도시평]안순택 논설위원

  • 승인 2012-02-21 14:30
  • 신문게재 2012-02-22 20면
  • 안순택 기자안순택 기자
▲ 안순택 논설위원
▲ 안순택 논설위원
지난 연말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는 세종대왕을 '훈남' 반열에 올려놓았습니다. 한석규씨의 부드러운 연기가 일품이었습니다만 민초들과 소통하려는 지도자의 진정성이 시청자의 마음에 닿았기 때문은 아닐까요. 역사책은 왕위에 즉위한 세종이 던진 첫 말이 “의논하자”였다고 전합니다. 소통을 좋아했던 대왕의 품성은 적어도 작가들이 꾸며낸 이야기는 아닌 듯합니다.

대왕의 이런 품성은 천성(天性)이었을까요. 학자들은 길러졌다는데 한뜻입니다. 세종은 '사저에 있을 때는 물론 즉위 후에도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으며, 식사 때도 반드시 책을 좌우에 펼쳐놓았다'는 '독서광'이었습니다. 방대한 독서로 지식을 얻되 공리공론보다는 현실에 응용할 수 있는 '산지식'을 선호했지요. 얻은 지식을 세상에 펴려니 다른 사람의 의견을 묻고 소통하는 습관이 몸에 뱄다는 것이지요. 세종은 신하에게도 묻고 과거 시험을 보러 온 유생에게도 물었습니다. 독서를 통해 예지(叡智)를 갖추고, 소통으로 경륜(經綸)을 쌓고, 경륜이 실천으로 이어졌던 것입니다.

또한 신하들에게도 끊임없이 독서를 권유했습니다. 집현전을 만든 것도 관직에 오르면 공부를 멀리하는 신하들에게 자극을 주려는 목적도 있었습니다. 이런 범국가적 지적 능력 향상을 위한 '독서경영'이 태평성대를 이룬 토대는 아니었을까요. 염홍철 대전시장이 강조하는 '독서경영'이나 휴가를 주어 책을 읽도록 권하는 '사가독서'는 모두 세종의 것을 본받은 것입니다.

앞뒤 꽉꽉 틀어막고 눈 뜨면 선거만 떠드는 시절에 웬 세종대왕이며 독서이야기인가, 궁금하실지 모르겠습니다. 올해가 무슨 해일까요. 선거의 해? 맞습니다. 그리고 정부가 정한 '국민 독서의 해'랍니다.

“너나 잘 하세요”라고 맞받고 싶은 정부가 벌이는 일이긴 합니다만 '책을 읽자'는 권유만큼은 나무랄 게 아닙니다. 우리만 하는 것도 아니지요. 영국은 1998년에 이어 2008년을 독서의 해로 지정했고 정부와 민간단체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연중 독서 캠페인을 벌였습니다. 가까운 일본도 2010년을 독서의 해로 운영했습니다. 호주는 우리와 같이 올해가 독서의 해입니다.

세계적인 독서 장려 캠페인은 인터넷 디지털 문화의 확산으로 가속화되는 '활자 이탈' 현상을 국민 계몽 차원에서 '문제'로 보기 때문입니다. 정보를 찾고 자료를 구하기 위해 이리저리 책장을 넘기며 뒤적이는 모습은 점점 찾아보기 어려워졌습니다. 책이 아니더라도 유익한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방법과 도구는 널려있으니까요. 인터넷에 익숙하고 다양한 미디어에 더없이 친숙한 이들에게 몇 번의 클릭만으로 해결될 일을 굳이 도서관의 서고를 뒤져 해결하라고 강요할 수도 없는 일입니다.

읽는 것으로 치자면 요즘 사람들은 끊임없이 무언가를 읽습니다.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를 읽고,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인터넷에서 무수히 많은 정보를 읽습니다. 그런데 이것을 과연 '읽는다'고 할 수 있을까요. 읽고 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머릿속에서 잊힌다면 '읽는 것'이 아니라 '보는 것'에 가까울 것입니다.

'읽는다'는 것은 글과 소통하는 것이며 '생각한다'는 것과 거의 같은 뜻입니다. 조용한 공간에서 집중해야 하는 책 읽기는 자신만의 논리를 이끌어내고 상상력을 통해 독자적인 생각을 키우는 일입니다. 깊이 읽을수록 깊이 생각하게 만듭니다.

'국민 독서의 해'는 바로 생각하는 국민이 되자는 뜻입니다. 대통령과 국회의원을 뽑는 올해, 세종처럼 방대한 독서와 사색을 통해 나라가 나아가야 할 미래를 제시하는 사람을 뽑자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도 있을 것입니다. “책이 없으면 신도 침묵을 지키고, 정의도 잠자며, 자연과학은 경직되고, 철학도 문학도 말이 없을 것”이란 토머스 바트린의 말이 날카롭게 다가옵니다.

사실 세종은 타고난 독서가는 아니었습니다. 아버지인 태종은 맏이인 양녕의 걸림돌이 될까봐 충녕(세종)을 불러 “너는 할 일이 없으니 놀기나 하라”고 했답니다. 그 때문에 열아홉이 될 때까지 공부는 멀리하고 글씨 그림 악기 같은 잡기를 익혔습니다. 세종은 예능을 먼저 익힌 뒤 책을 읽기 시작해 세상을 보는 눈이 더 밝아졌는지 모릅니다. 책을 언제 손에 들든 책 읽기가 늦은 때란 결코 없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현장]3층 높이 쓰레기더미 주택 대청소…일부만 치웠는데 21톤 쏟아져
  2. 대전서 금강 수자원 공청회, 지천댐 맞물려 고성·갈등 '얼룩'
  3. 차세대 스마트 교통안전 플랫폼 전문기업, '(주)퀀텀게이트' 주목
  4.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5. 전국 아파트 값 하락 전환… 충청권 하락 폭 더 커져
  1. 유등노인복지관, 후원자.자원봉사자의 날
  2. 대전시, 12월부터 배출가스 5등급 차량 운행 제한
  3. [화제의 인물]직원들 환갑잔치 해주는 대전아너소사이어티 117호 고윤석 (주)파인네스트 대표
  4. 생명종합사회복지관, 마을축제 '세대공감 뉴-트로 축제' 개최
  5. 월평종합사회복지관과 '사랑의 오누이 & 사랑 나누기' 결연활동한 동방고 국무총리 표창

헤드라인 뉴스


영정그림 속 미소 띤 환이… “같은 슬픔 반복되지 않길”

영정그림 속 미소 띤 환이… “같은 슬픔 반복되지 않길”

"환이야, 많이 아팠지. 네가 떠나는 금요일, 마침 우리를 만나고서 작별했지. 이별이 헛되지 않게 최선을 다해 노력할게. -환이를 사랑하는 선생님들이" 21일 대전 서구 괴곡동 대전시립 추모공원에 작별의 편지를 읽는 낮은 목소리가 말 없는 무덤을 맴돌았다. 시립묘지 안에 정성스럽게 키운 향나무 아래에 방임과 학대 속에 고통을 겪은 '환이(가명)'는 그렇게 안장됐다. 2022년 11월 친모의 학대로 의식을 잃은 채 구조된 환이는 충남대병원 소아 중환자실에서 24개월을 치료에 응했고, 외롭지 않았다. 간호사와 의사 선생님이 24시간 환..

대전서 금강 수자원 공청회, 지천댐 맞물려 고성·갈등 `얼룩`
대전서 금강 수자원 공청회, 지천댐 맞물려 고성·갈등 '얼룩'

22일 대전에서 열린 환경부의 금강권역 하천유역 수자원관리계획 공청회가 환경단체와 청양 주민들의 강한 반발 속에 개최 2시간 만에 종료됐다. 환경부는 이날 오후 2시부터 대전컨벤션센터(DCC)에서 공청회를 개최했다. 환경단체와 청양 지천댐을 반대하는 시민들은 공청회 개최 전부터 단상에 가까운 앞좌석에 앉아 '꼼수로 신규댐 건설을 획책하는 졸속 공청회 반대한다' 등의 피켓 시위를 벌였다. 이에 경찰은 경찰력을 투입해 공청회와 토론이 진행될 단상 앞을 지켰다. 서해엽 환경부 수자원개발과장 "정상적인 공청회 진행을 위해 정숙해달라"며 마..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尹정부 반환점 리포트] ⑪ 충북 현안 핵심사업 미온적

충북은 청주권을 비롯해 각 지역별로 주민 숙원사업이 널려있다. 모두 시·군 예산으로 해결하기에 어려운 현안들이어서 중앙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한 사업들이다. 이런 가운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기대가 크다. 윤 정부의 임기 반환점을 돈 상황에서 충북에 어떤 변화가 있을 지도 관심사다. 윤석열 정부의 지난해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발표한 충북지역 공약은 7대 공약 15대 정책과제 57개 세부과제다. 구체적으로 청주도심 통과 충청권 광역철도 건설, 중부권 동서횡단철도 구축,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구축 등 방사광 가속기 산업 클러스터 조..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롯데백화점 대전점, ‘퍼피 해피니스’ 팝업스토어 진행

  •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대전-충남 행정통합 추진 선언…35년만에 ‘다시 하나로’

  •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대전 유등교 가설교량 착공…내년 2월쯤 준공

  •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 중촌시민공원 앞 도로 ‘쓰레기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