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를 넘어 대전과 충남·북 연결노선으로 구상되면서, 차량 및 사업자 선정, 운행방식 등의 결정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9일 행정도시건설청에 따르면 BRT 도로는 충북 오송과 세종, 대전 유성간 27.8㎞ 구간으로 계획되고 있다. 예정지역 외곽 순환도로 13㎞를 포함하면, 40.8㎞로 늘어난다.
세종~유성 구간 BRT도로는 상반기 중, 오송~세종 연결 도로는 10월께, 예정지역 관통 도로는 올해 말까지 각각 완공을 앞두고 있다.
내년 상반기 중으로 오송~세종~대전을 잇는 BRT 도로 개통이 우선 이뤄진다.
2015년 이후로는 오송과 대전에 각각 환승센터를 구축, 예정지역 외곽 순환도로와 연결하는 사업이 이뤄질 예정이다. 대전시와 충북도 역시 이에 발맞춰 지역 내부 BRT 도로 연결을 계획하고 있다.
문제는 차량 기종과 사업자, 운행방식 선정과 관련된 예산분담 방안에서 비롯된다. 우선 차량 기종의 경우, 건설청은 명품 세종시에 걸맞은 친환경성과 경제성을 갖춘 최첨단 BRT버스 도입을 검토 중이다.
서울의 천연가스(CNG) 버스와 신형 전기버스, KAIST의 올레브,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바이모달트램 등을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 4개 기종의 가격대는 대당 2억원에서 6억원까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충청권 3개 지자체와 건설청간 입장이 다를 수 있다는 얘기다.
사업자와 운행방식에서도 운행 초기 불가피한 적자 보존 등을 누가 얼마나 더 책임지냐는 문제로 귀결된다. 지역별 버스업계간 첨예한 이해관계가 부각될 소지가 적지 않아서다.
올해 말까지 의견차를 줄이고 상생협력 기반을 마련해야하는 과제를 남겨둔 셈이다. 이 같은 공감대는 최근 관계 기관간 첫 모임과 함께 긍정적인 전망을 낳고 있다. 지난 3일 건설청과 한국토지주택공사, 대전시, 충남·북도, 연기군, 총리실, 한국교통연구원간 세종시 대중교통 상생방안 간담회를 통해 엿볼 수 있었다.
3월 중 충청권 3개 지자체와 7월 출범 세종시, 건설청이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 구성이라는 성과물도 도출했다.
건설청 관계자는 “수도권의 지하철 개념을 뛰어넘는 BRT 시스템이 궁극적인 목표”라며 “인근 지자체와 조율과정이 쉽지않을 것으로 보이지만, 충청권 상생발전이라는 큰 틀에서 합의가 이뤄진 만큼 긍정적인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희택 기자 nature2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