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대전도시철도공사 위탁역에 대대적인 비정규직 '해고'사태의 직격탄을 맞은 A씨는 이같이 토로했다. 단순히 도시철도공사가 위탁운영하던 역을 직영으로 바꾸면서 이뤄진 일이 아니었다. 2년 임기의 역장 교체가 전체 22개 역 가운데 11곳의 역에서 이뤄지면서 대대적인 '인력 솎아내기'가 있었다는 것.
그는 “잘려나간 사람들 사이에서는 신임 역장과 관계된 사람이다, 00의원이 부탁했다며 대전도시철도공사로 이력서가 내려왔다는 소문이 돌았다”고 말했다.
대전도시철도공사 위탁역의 이상한 채용구조가 청년실업을 부추기고 있다. 7일 대전도시철도공사에 따르면 지난 1일 대전도시철도 1단계 11개역 역장이 교체됐으며, 11개 역에서 33명의 비정규직이 교체됐다.
위탁역들은 역장에게 역을 위탁해 운영하는 구조로 직원들은 1년 단위의 비정규직 계약직들이다.
현재 22개 역사 가운데 정부종합청사와 지족역 등 2곳을 제외하면 20곳의 역이 위탁운영되고 있으며, 역사마다 10여 명의 직원들이 비정규직 역무원으로 일하고 있다.
문제는 1년 단위로 계약하는 비정규직 계약직원들로 채우다보니 업무효율과 관계없이 해마다 대규모 해고사태가 반복되도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시청역만 하더라도 전체 직원 8명 가운데 2월 1일자로 3명의 직원이 교체됐다. 전체 직원 가운데 40%에 이르는 숫자다.
역마다 평균 3명씩 11개 역이 전체 직원의 30%에 이르는 직원을 교체한 샘이다. 이들 직원 가운데 상당수는 젊은 직원이었으며, 전체 직원의 30%가 업무 수행 능력에 문제가 있어 교체했다는 해명은 납득이 어렵다는 여론이다.
더욱이 역장 교체에 따른 '낙하산'식 해고라는 소문이 돌면서 직원들의 분위기도 흉흉하다.
B역의 한 직원은 “이번 역장 교체 시기에 유난히 직원들이 많이 나가게 된 것 같다”며 “남아 있는 직원 입장에서도 열심히 일하고 있는 직원이 해고된 것 같아 마음이 아프다”고 말했다.
또 다른 C직원은 “업무 능력이 떨어져서 재계약을 하지 않았다는 것은 변명이고 99%는 일방적 해고로 알고 있다”며 “일부 해고자 가운데 먹고살기 어려운 극빈자 자녀나 사정이 어려운 직원들도 포함된 것으로 알고 있어 화가난다”고 말했다.
대전도시철도 측은 “교체된 인력 가운데 역장이 바뀌면서 역장보다 나이가 많은 60세 이상의 비정규직 직원 2~3명을 비롯해 50대 후반의 수입관리나 전산 처리 등이 미흡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교체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해명했다.
김민영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