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당 감사반이 파견돼 전국의 당원협의회를 대상으로 진행되는 이번 당무 점검은 주로 현역 의원인 원내 당협위원장들을 겨냥한 것이지만, 공천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는 만큼 지역의 원외 위원장들도 혹여나 '살생부'에 오르지 않을까 긴장감을 늦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충남지역은 지난 16일부터 실사가 시작돼 이달 말까지 10개 당협에 대한 당무 점검이 이뤄지며, 대전지역도 이번 주나 늦어도 다음 주 중에는 실사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은 이번 실사를 통해 각 당협의 조직관리와 운영 등 당무 전반을 점검하는 동시에 현직 당협위원장들에 대한 평판과 교체 지수 등의 여론을 집중적으로 파악하고 있다. 또한 각 지역 예비후보자들에 대한 현지 여론 등도 광범위하게 파악하고 있는 만큼 이번 실사는 사실상 총선을 겨냥, 당내 후보들에 대한 기초자료 수집 및 작성에 초점이 맞춰진 셈이다.
특히 한나라당에서는 그동안 원외 당협위원장들에 대한 실사가 진행된 적은 있지만, 18대 들어 원내 위원장들에 대한 전반적인 실사는 이번이 처음으로 당 비상대책위원회가 마련한 현역 공천 물갈이 방침과 맞물려 이번 실사 결과가 현역 의원들에게는 곧 '살생부'가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물론 대전과 충남의 경우 현역 의원이 1명 뿐이어서 그 파장이 덜하지만, 원외 위원장들 역시 이번 실사에서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될 경우 공천 과정에서의 악영향을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다만 대전과 충남은 영남 등 한나라당 강세 지역과 달리 대부분이 원외인 현역 위원장들에 대한 교체지수나 여타 후보군에 대한 부정적 여론이 높게 파악되더라도 대안 부재에 시달릴 수 있어 얼마나 실효성 있는 점검이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당장 충청권의 특수한 정치지형상 선거를 코 앞에 두고 중량감 있는 인사를 전략적으로 영입 또는 공천하기도 어려운데다 자칫 기존 조직 기반을 흔들어 놓을 경우 오히려 선거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어느 정도 당 기여도와 기득권을 가진 당협위원장들이 교체 여론에 시달릴 경우 여타 예비후보군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힘들어 질 수 있다는 점이다. 즉 이번 당무 점검에서 조직관리에 심대한 문제점이 발견되거나 경쟁력 자체를 의심 받게 될 경우 당내 입지가 그 만큼 좁아질 수 밖에 없다는 얘기다.
당 관계자는 “이번 실사는 지역에서 종합적으로 당과 후보자들에 대한 여론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면 될 것”이라며 “총선을 앞둔 만큼 민감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지만 대전ㆍ충남은 우리 당의 강세 지역이 아니라는 점도 감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섭 기자 nomad@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