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충남도에 따르면 2010년 도내 21곳에서 운영되던 청소년 공부방이 지난해는 10곳으로 줄었다. 올해도 보령(4곳), 연기(3곳), 아산(2곳), 서산(1곳)에서 운영 중이지만 수요가 급격히 줄어 운영 기간을 장담할 수 없는 처지다.
청소년 공부방은 1990년대 초부터 소외 계층 자녀들의 방과 후 활동 등을 책임지기 위해 지역 시민단체 등이 조성, 운영하던 곳이다.
방과 후 학원이나 집에서 학습을 계속할 수 없던 저소득 계층 청소년 등에게 교육 서비스 제공은 물론 보호자 역할을 수행했다. 효과가 커 정부도 1곳당 연간 500만~1000만원의 운영비를 지원하며 육성을 장려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전문가까지 배치된 지역아동센터나 청소년 방과 후 아카데미, 지역도서관 등이 늘어나면서 공부방이 설 자리가 좁아지고 있다. 특히 수요가 사라지면서 2010년부터는 정부 지원도 끊기자 지역 시민단체 등도 운영을 꺼리고 있다. 결국 운영자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기존 청소년 공부방은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실제 연기 소정면사무소에서 운영 중이던 청소년 공부방은 국비 지원이 끝긴데다 찾는 학생도 거의 없어 지난 해부터 폐쇄됐다. 책상과 책 등이 그대로 있지만 별다른 활용방안을 찾지 못해 문을 닫아 놓는 날이 많다.
면사무소 관계자는 “국비 지원이 없어진 뒤 군비로 공부방 운영비 지원을 계속하기로 했지만 농촌지역에 청소년이 적어 수요가 거의 없는 수준”이라며 “공부방을 운영하겠다는 사람도 없어 공간이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일부에서는 학원이나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이 적은 농어촌 지역만이라도 지자체가 공부방 운영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정 규모 이상을 갖춰야 하는 지역아동센터와 달리 공부방은 설립이나 운영이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공공 서비스가 소외된 계층에 폭넓게 적용돼야 하지만 한두명의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서 서비스를 제공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며 “지역아동센터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시설 지원을 확대해 농어촌 지역 청소년들이 소외받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시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