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가 인사가 체육계로 건너와 체육단체장 등을 맡은 적은 간혹 있었지만, 정통 체육인이 국회의원 또는 단체장으로 당선된 사례는 없다시피 하다.
체육계에선 각종 현안사업 추진과 체육인 복지증진 등 지역 체육 발전을 위해서는 체육인 가운데 정치인 배출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체육계에 따르면 대전·충남 국회의원 16명 가운데 경기인 또는 체육학을 전공한 의원은 단 1명도 없다.
지자체장도 마찬가지로 대전시 충남도 23명의 시·도지사 시장·군수·구청장 중 체육인 출신은 찾아볼 수 없다.
4월에 치러지는 제19대 총선도 똑같은 상황이다.
12일 오후까지 선관위에 예비후보자로 등록한 대전 38명, 충남 55명 가운데 체육인은 전무하다.
예비후보자 대부분을 차지하는 현역 의원과 정당인, 경제계 인사를 빼고 법조계 5명, 교육계 3명, 의료계 1명 등이 포함된 것과 대조적이다.
최근 대전·충남 체육인이 정치에 도전한 사례는 축구선수 출신으로 대전시체육회 사무처장을 지낸 이창섭 충남대 체육교육학과 교수뿐이다.
역대를 통틀어서 대한육상경기연맹 고문을 역임하며 70~90년대 아산에서 4선에 성공한 황명수 전 국회의원이 체육인 출신 정치인으로 유일하다.
이처럼 체육인 출신 정치인이 없는 데 따른 지역 체육계의 설움은 크다.
충남도체육회관 건립 등 각종 체육계 현안 사업이 수년째 표류하는 것도 체육인 출신 정치인 부재와 무관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장기적으로는 아시안게임 등 국제스포츠 대전 유치와 프로농구 지역 연고팀 탄생 등도 정통 체육인이 정치권에서 입김을 행사할 때 한층 힘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체육계의 일반적인 시각이다.
체육계 한 관계자는 “경기도 오산 안민석 국회의원이 대학에서 체육을 전공한 체육인인데 지역민의 학교 체육시설 사용료 감면, 생활체육시설 확충 등 지역 체육발전을 위해 많은 공헌을 하고 있다”며 “이같은 사례를 보면 대전·충남도 체육인 출신 정치인 배출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강제일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