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 장기미집행 도시시설 수두룩

  • 전국
  • 당진시

당진 장기미집행 도시시설 수두룩

면적 201만㎡ 달해 총보상비 5777억 재정부담… 매수청구 국비지원 절실

  • 승인 2012-01-10 15:15
  • 신문게재 2012-01-11 18면
  • 당진=이종식 기자당진=이종식 기자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매수청구에 대한 국비 지원이 절실하다.

특히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제48조 및 부칙 제16조에 따르면 전국 지자체가 공통적으로 2020년 7월 1일까지 도시계획시설 사업이 시행되지 않을 경우 다음날 시설결정이 자동 실효돼 도시행정의 신뢰저하가 우려된다.

또 도시가로망 및 공원녹지 등 공공시설 예정지의 해제에 따른 계획적인 도시개발은 물론 맹지 발생에 따른 각종 개발행위 곤란 등 체계적인 도시관리에 혼란이 예상된다.

'2011 당진시의회 행정사무감사자료' 등에 따르면 당진시는 2020년까지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을 해소하기 위해 매년 640억원씩 총 5777억원의 예산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당진시의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보상비는 매년 5억~8억원이 책정돼 10년 이상 미집행된 토지 중 대지에 한해 선착순으로 접수받아 집행하고 있는 것이 고작이다.

실제로 당진시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은 ▲도로 503건 277만5807㎡(연장 173.3㎞) ▲광장 17건 26만6192㎡ ▲녹지 24건 47만7119㎡ ▲주차장 6건 5379㎡ ▲근린공원 18건 143만4889㎡ ▲어린이공원 22건 4만529㎡ 등 총 590건 499만9915㎡이며, 이 가운데 현재 59.7%인 298만5354㎡가 집행됐다.

미집행시설은 ▲도로 77만2013㎡(보상비 3074억원) ▲광장 10만9217㎡(437억원) ▲녹지 6만8621㎡(137억원) ▲주차장 2570㎡(5억원) ▲근린공원 103만9012㎡(2078억원) ▲어린이공원 2만 3128㎡(46억원) 등 총 201만4561㎡로 보상액이 5777억원에 이른다.

집행률은 도로, 녹지 등이 50%를 넘긴 반면 어린이공원 42.9%, 근린공원 27.6%에 머무른 상태다.

당진시 관계자는 “연차별로 사업비를 확보해 소규모 단위 도시개발사업을 추진하고, 민간 투자개발사업의 적극적인 유치로 미집행시설을 최소화하고 있다”며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자동 실효에 따른 도시행정의 실추를 방지하기 위해 전국 타 지자체와 연대해 매수청구에 관한 국비지원 근거를 마련토록 중앙부처에 지속적으로 건의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당진시의 2010년도 지방세 징수액은 주민세 20억8700만원, 재산세 283억8300만원, 자동차세 228억4000만원, 지방소득세 393억6000만원, 담배소비세 118억7500만원 등 총 1045억원에 그쳐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매수비용으로 매년 640억원씩 부담하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중앙정부의 근본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당진=이종식 기자 leejs@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랭킹뉴스

  1. [월요논단] 대전 대기업 유치, 겉도는 헛바퀴
  2. 철도지하화 발표 코앞… 대전 파급력 등 평가 긍정적 기류
  3. 대전 상장기업 64개 넘어...올해도 달린다
  4. 대전시의회 조원휘 "안산산단 9부 능선 넘어"… 불필요한 책임공방 무의미
  5. 대전시, 꿈씨 패밀리로 도시경쟁력 강화한다
  1. [오늘과내일] 역사 속 을사년
  2. 세이브코리아(Save Korea) 국가비상기도회
  3. 2025 대전 사회복지계 신년교례회 개최
  4. 더불어민주당 각급 위원회 발대식 "민주주의 회복과 사회대개혁 앞장"
  5. 세계로 가는 수자원공사 중동이어 아프리카 시장 진출

헤드라인 뉴스


자원봉사·CCTV 확대 ‘졸속’… 학교안전 근본대책 마련을

자원봉사·CCTV 확대 ‘졸속’… 학교안전 근본대책 마련을

대전에서 발생한 초등생 피습 이후 돌봄교실 안전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가운데 근본적인 학교 안전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전교육청이 사건 이후 대책으로 발표한 자원봉사자 배치로는 현재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며 인력과 예산을 투입한 실질적인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대전본부와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 대전지부는 17일 오전 각각 대전교육청 현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교육청의 근본적 학교 안전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현재 돌봄전담사는 오후 7시까지 혼자서 돌봄교실..

대형마트 휴업 평일전환 시 상권매출 3% 상승… 대전 휴일전환 힘 받나
대형마트 휴업 평일전환 시 상권매출 3% 상승… 대전 휴일전환 힘 받나

대형마트 의무 휴업일이 주말에서 평일로 전환할 경우 인근 상권 평균 매출이 3%대로 상승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답보 상태인 대전 대형마트 평일 휴업 전환이 힘을 받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다만, 이해 당사자인 노동자 등은 반대 의견을 강하게 내고 있고, 정치권에서도 의무 휴업일을 평일보단 공휴일로 지정하는 법안 등이 발의되면서 시일이 다소 걸릴 전망이다. 17일 산업연구원의 '대형마트 영업 규제의 변화와 경제적 효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형마트 주말 영업은 주변 상권에 평균 3.1% 수준의 매출 상승효과를 나타냈다. 연구원은..

`충청광역연합’ 정부재정 필수… 민주당 충청의원들 법안 발의
'충청광역연합’ 정부재정 필수… 민주당 충청의원들 법안 발의

대전과 세종, 충남·북이 함께 출범한 특별지방자치단체인 '충청광역연합'의 재정 지원 근거를 마련 위한 법안이 발의됐다. 더불어민주당 송재봉 의원(충북 청주청원)이 17일 대표 발의한 지방교부세법 일부개정법률안으로, 대전과 세종, 충남·북 국회의원들이 대거 공동 발의자로 이름을 올렸다. 개정안의 핵심은 지방교부세법 제2조 제2호에 두 개 이상의 지방자치단체가 공동으로 설치할 수 있는 '특별지방자치단체'를 추가해 충청광역연합도 지방교부세를 받을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는 내용이다. 법안이 통과되면 특별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실시간 뉴스

지난 기획시리즈

  • 정치

  • 경제

  • 사회

  • 문화

  • 오피니언

  • 사람들

  • 기획연재

포토뉴스

  •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인도 점령한 이륜차와 가게 홍보판

  • 봄마중 나온 나들이객 봄마중 나온 나들이객

  • ‘우리 동아리로 오세요’ ‘우리 동아리로 오세요’

  • 하늘로 떠난 하늘이…‘오열 속 발인’ 하늘로 떠난 하늘이…‘오열 속 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