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에서 4·11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 선관위에 등록한 여성 예비후보가 단 4명에 그쳤다. 그것도 모두 충남 지역 후보이고 대전과 충북 지역엔 단 한 명도 없다. 정치의 진입장벽이 높다곤 하나 다른 지역에 비해 여성참여도가 현저히 낮은 것은 심각하게 생각해봐야 할 문제다. 전체 등록 예비후보 대비 여성후보 비율 3.7%는 전국 평균 6%에 절반을 조금 넘는 수준이다.
정치권은 여성 스스로가 출마를 꺼리는 탓으로 돌린다. 준비된 여성이 많지 않다는 이유도 있다. 적임자라고 해도 직접 선거에 뛰어들기를 기피한다고 한다. 현행 공천경쟁 제도와 소선거구제는 조직적 기반이 약한 여성들에겐 넘보기 힘든 장벽으로 느껴질 수 있다. 18대 총선 때는 지역구 후보 공천 여성 할당 30%란 권고 조항이 있었다. 19대는 어떨지 아직 모르지만 이 같은 권고 조항에 대비해서라도 여성후보 발굴에 나서야 한다.
여성들도 시혜성 공천을 바라거나 비례대표를 선호하는 경향에서 탈피해야 할 것이다. 여성계도 전문성과 능력에서 남성을 뛰어넘는 유능한 인물, 경쟁력 있는 후보 발굴을 위해 고민해야 한다.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 확보를 위해서도 그렇다. 더불어 여성 유권자들도 정치의 주체로 적극 나설 필요가 있다. 제도에 문제가 있다면 지속적으로 고쳐나가야 한다.
여성이 얼마나 정치에 참여하고 있는가는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가 얼마나 완성됐는지, 정치가 얼마나 발전했는지를 보여주는 가늠자가 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보면 충청권은 낙제점인 셈이다. 정치를 남성의 전유물로 여기는 정치문화부터 바꿔야 한다. 정치를 남성의 영역으로 특화해 보는 사회적 인식의 대전환이 필요하다. 여성들의 분발을 바란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