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광선 한국산학연협회 회장, 한국기술교육대 교수 |
필자는 수학을 많이 사용한다는 기계공학과에서 학사, 석사,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도 수학을 많이 사용하는 컴퓨터를 이용한 열 유동 시뮬레이션(수치해석) 분야에서 강의와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이러한 필자의 전공분야를 알아서인지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둔 학부모가 종종 우리아이의 수학 점수는 이러이러한데 이과를 갈 수 있는지 또는 공대를 가게 되면 잘 할 수 있는지 질문을 받게 된다. 물론 대답은 수학점수와 수학에 대한 흥미만 가지고는 판단하기가 어렵다고 말해준다. 공대에서도 기계공학과의 재료분야, 신소재공학과, 화학공학과, 디자인공학과 중 수학을 많이 사용하지 않는 분야도 있고 문과의 언어 관련 학과의 통계분석분야, 경영학과, 회계학과 중 수학적 지식이 중요한 학과도 있다고 하면 질문한 학부모는 필자의 아리송한 대답에 더욱 문과, 이과 결정이 어려워졌다면서 불평을 하는 경우가 많다.
20세기 말부터 IT기술에 바탕을 둔 지식정보화사회의 출현은 기존의 기계, 전기, 건축, 조선, 플랜트 등 전통산업에 디지털기술이 합성되면서 인문 사회적 감성과 문화, 예술 등과의 융합을 필요로 하는 사회로 급변하고 있다. 융합기술 적용의 대표적인 제품인 스마트폰에는 전기전자, 통신, 기계, 신소재기술에 인간의 감성을 포함한 디자인과 소프트웨어가 녹아들어가 있다. 미래의 자동차, 냉장고, 로봇, 그리고 화장실의 변기 등에 이르기 까지 앞으로 스마트폰과 같은 융합화 제품의 출현은 더욱 가속화되고 확대 될 것이다. 다른 분야 간의 경계에서 융합적인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오고 혁신이 일어나며 신제품과 함께 새로운 경제적, 사회적 문화가 창출된다.
미국공학한림원(NAE)에서 발행한 NAE 2005년 백서에서 2020년에 필요한 엔지니어는 12가지 능력을 최소한 갖추어야 한다고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높은 분석, 실천적 발명, 창의성, 원활한 소통, 사업과 경영 리더십, 높은 윤리의식, 전문성, 열정, 민첩한 행동, 탄력성, 적응성, 평생학습 능력을 갖추어야 된다는 것이다.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엔지니어의 전문성에 대한 필요성은 숫자로만 보면 12가지 능력 중 한가지에만 해당된다. 이과학생 또한 원활한 소통과 경영 리더십, 그리고 창의성 발휘를 위한 능통한 언어구사와 사회적 센스가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인문사회학분야 역시 다양한 언어적, 사회적 현상을 분석하고 이를 위하여 개발된 확률, 통계관련 컴퓨터 응용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려면 기본적인 수학적 능력은 필요하다.
미래의 꿈나무를 키우는 고등학교 1학년부터 수학에 대한 흥미와 성적으로 문과, 이과를 구분하여 학생의 진로를 미리정하고 학부모가 고민에 고민을 거듭하는 풍토는 잘못되었다. 고등학교에서 수학교육은 문과, 이과 구분 없이 수학1을 중심으로 지식정보화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수리의 활용 능력을 위한 기본교육에 충실하면 된다. 수학공식을 달달 외워서 단시간에 많은 문제를 풀고 그 결과 수학점수가 좋으니 이과로 지원하여 적당히 졸업하여 엔지니어가 된다해도 이제는 사회에서 성공하기 어렵다. 단순한 암기를 통한 문제풀이 시간에 생각하고 응용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간을 많이 주어 학생들이 수학에 흥미를 갖게 하자. 기본공식을 풀어주는 소프트웨어는 스마트폰으로 언제나 다운 받을 수 있어 기본개념을 철저히 배우고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실제 응용에 더욱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수학교육이 되어야 한다. 선택과목으로 특별히 고등수학을 이수하고싶은 학생에게는 대학에서 학점으로 인정받는 대학기본수학을 선택적으로 개설하면 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