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가 밝아옴에 따라 정국도 더욱 뜨겁게 달궈지고 있다. 총선과 대선이 실시되는 올해는 정치적으로 매우 중대한 기점이 될 수 밖에 없다. 양대 선거 결과에 따라 전국적인 정치 지형은 물론 지역의 정치 구도도 크게 요동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
4월 치러지는 총선에서는 우선 그간 선거에서 보여진 지역 구도의 균열 가능성이 예견되고 있다. 정치권의 재편 속에 특정 지역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선거 구도도 보수 대 진보라는 이념적 대결 구도로의 재편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지역 구도의 균열은 이미 2010년 지방선거를 통해 일정부분 확인되기도 했다. 노무현 정부 출신 인사들인 안희정 충남지사와 김두관 경남지사, 이광재 전 강원지사 등의 당선이 상징적이다.
이런 가운데 진보ㆍ개혁 성향의 야권 정당 통합은 올해 선거에서 보수 대 진보 대결 구도로의 재편을 가속화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야권이 민주와 진보 양 갈래 통합으로 갈라지기는 했지만, 후보단일화를 통한 선거 연대를 염두에 두고 있는 만큼 총선과 대선에서 보수와 진보의 일대일 구도가 형성될 가능성이 크다. 한나라당의 위기 속에서 일각의 보수 정당 창당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지만, 이 또한 창당이 가시화되더라도 선거를 앞두고 야권 연대에 맞선 보수 연대로 이어질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곧 총선 결과는 대선 구도와도 직결된다. 총선 결과에 따라 여야 양당을 중심으로 연대ㆍ연합 등 합종연횡이 가속화되고 정치권은 더욱 빠르게 재편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국민적 요구에 따라 정치권이 변화와 쇄신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만큼 정치지형 변화가 어떤 식으로 귀결될 지는 아직 안개속이다.
안개 정국 속에서 전국적인 선거 구도가 충청권 정치지형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지도 관심사다. 충청권에는 그 동안 지역을 기반으로 한 정당이 자리매김을 해 왔다. 17대 총선에서는 탄핵바람을 타고 열린우리당이 돌풍을 일으키며 한때 충청권을 기반으로 전국정당화의 발판을 마련했던 자민련은 자연스럽게 소멸됐지만, 이후 18대 총선에서 이회창 전 대표와 심대평 대표가 손을 잡고 나서며 자유선진당이 대전ㆍ충남 대부분의 의석을 싹쓸이, 새로운 지역기반 정당으로 탄생했다.
2010년 지방선거를 거치며 자유선진당 내에서도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대전과 충남에서 대부분의 의석을 보유한 선진당은 무시할 수 없는 존재다. 여야의 1대1 구도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은 전국적인 선거 지형과 달리 충청권에서는 여전히 치열한 삼각구도가 예견되는 이유다.
하지만 자유선진당이 4월 총선에서 18대 총선에 버금가는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 존재감이 급격히 상실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자연스럽게 충청권의 정치지형 변화를 가져올 가능성이 크다. 특히 총선 결과가 대선 과정으로까지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점에서 선거 결과에 따라 자유선진당이 계속해서 독자노선을 걸을 수 있을지 여부는 향후 지역 정치권의 재편 가능성을 가늠케하는 요소다.
이종섭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