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가 속도를 내면서 가장 논란이 돼왔던 문제가 바로 자족기능이다.
도시가 자족기능을 갖추기 위해선 도심 내 인구가 기본이 된다. 사람들이 모여드는 도시가 성장하게 된다. 이에 중앙행정기관의 이전에 따라서 관련된 기업들의 이전, 입주도 자연스럽게 이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세종시는 중앙행정부처 이전 등 총 36개 기관 1만452명의 공무원이 올해부터 2014년까지 나눠서 이전한다.
7월 세종시 출범인구는 편입지역(연기, 공주, 청원)의 인구와 편입지역 외국인(1893명) 등 총 12만2198명이 예상된다.
국무총리실 등 1차 이전기관이 이전하는 2012년 12월에는 현재인구(12만2198명)에 계획인구 등 총 13만5112명이 도시로 재탄생된다. 이전기관 소속 공무원 설문조사에서 87%가 이전한다고 했지만 이전 초기 대상공무원 중 50%만 산정, 가구당 세대원도 2인으로 산정했을 경우다.
이에 2012년 9월 세종시로 가장 먼저 이전하는 국무총리실 등 중앙행정기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세종시는 이같은 초기 활력단계(~15년)와 자족적 성숙단계(16~20년), 완성단계(21~30년)를 거쳐 목표인구 50만의 자족도시 건설이 목표다.
초기단계는 중앙행정 및 도시행정 등 정책적 이전수요를 이끌어내게 된다.
자족적 성숙단계는 의료, 문화, 첨단지식산업 등 자족적 성장 동력에 의한 도시 활성화를 추진한다는 목표다. 2030년까지 첨단지식기반 및 대학, 의료복지 기능 등 인구 유치로 50만 도시로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결국 차질없는 중앙행정기관의 정책적 이주가 이러한 세종시 출발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조성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