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외국인투자의 분장과 미숙한 경영
하. 원칙 있는 대응 필요
▲ 개장 1년도 되지않아 경매위기에 몰린 대전아쿠아월드. 운영난에 직원이 크게 줄면서 평일 오전 10시를 넘긴 시간에도 사무실에 빈자리가 많다. |
보문산 대사지구에 조성된 대전아쿠아월드가 개장 1년도 되지 않아 경매절차의 문턱까지 오르는 등 먹구름에 휩싸였다. 위기에 처한 대전아쿠아월드를 3회에 걸쳐 긴급 진단한다.<편집자 주>
2009년 4월 대전시가 미국을 방문해 레이놀즈사 및 한국자회사인 (주)H&G아쿠아월드와 협약을 체결하면서 시작된 대전아쿠아월드 조성사업은 당시 제시된 '연 방문객 80만명', '대사천복원사업을 통한 보문산관광벨트 조성' 등의 장밋빛 청사진은 실현되지 않고 있다.
대전시가 2009년 4월 아쿠아월드를 조성키로 레이놀즈사와 협약을 체결한 이후 같은 해 7월 대전발전연구원은 '대전아쿠아월드 지역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발간했다.
대발연은 이 보고서에서 보문산 대전아쿠아월드에 연 80만명이 방문할 것으로 예측, 지역경제에 미칠 파급효과를 전망했다. 연간 80만명의 입장객 예상치는 대전아쿠아월드보다 규모가 작은 광주아쿠아리움이 연간 80만명 입장한다는 사례에서 따온 하나의 계산방식이었다.이같은 '연간 80만명' 예상 수치는 대전아쿠아월드 조성때 시설확장에 적용되고 상가분양에 홍보됐다.
문화체육관광부의 '관광통계'에 따르면 대전아쿠아월드의 지난 9월말까지 방문객은 44만1423명 수준이다. 올 연말까지 간다고 해도 방문객은 대발연의 '아쿠아월드 파급효과'에서 제시된 수치를 크게 밑돌것으로 점쳐진다. 이에대해 시 관계자는 “대전아쿠아월드는 순수 민간자본으로 진행된 사업으로 시가 수요예측 용역을 진행할 사안이 아니었으며, 경제파급효과 분석은 지역 경제적 파급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진행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쿠아월드의 대전유치 확정때 수족관이 어디에 위치할 지가 초미의 관심이었다. 2009년 당시 후보지로 보문산 대사지구의 동굴형 충무시설과 대전오월드가 입지한 보문산 사정지구, 엑스포과학공원 등이 검토됐으나 보문산 대사지구의 동굴형 충무시설로 결정됐다.
검토 당시 기존 관광지와의 연계성을 통한 집객효과와 주차난 완화 등을 위해 오월드와 뿌리공원 등 관광 인프라가 잘 구비된 사정지구 오월드 인근이 적합하다는 의견도 팽팽해 논란이 있었다. 그럼에도 상대적으로 낙후된 대사지구 활성화와 민간투자업체가 충무시설의 동굴 활용에 더 관심이 높다는 이유 등으로 충무시설을 활용한 아쿠아월드가 건립됐다.
아쿠아월드가 동굴형 충무시설로 결정 당시 보문산은 원도심 활성화와 연계된 각종 개발계획이 발표되는 시기였다. 총 사업비 450억원을 투입해 보문산 입구의 대사천을 복개해 청개천에 버금갈 정도로 조성하겠다는 '대사천 생태하천복원사업', 보문산 오거리에서 아쿠아월드를 지나 오월드까지 이어지는 '모노레일조성', 보문산 진입로 일대의 대사동주거환경개선사업 등이 발표됐지만, 지금은 사업 자체가 취소됐거나 기약없이 지연되고 있다.
또 현재의 대전아쿠아월드 인근 옛 푸푸랜드 부지를 생태체험장으로 대전아쿠아월드에 제공키로 했던 계획은 지난해 12월 시유지 매각 동의서가 시의회에서 기각되면서 생태체험장 사업은 취소를 앞두고 있다.
때문에 대전아쿠아월드는 지난 7월 '이행약정 불이행에 따른 사업장 환매요청의 건'을 중구청에 접수해 관공서가 약속했던 사항들이 이행되지 않아 운영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환매를 요청하기도 했다.
대전아쿠아월드 관계자는 “협약 당시 80만명 정도의 입장객 예측 수치를 보고 잘하면 100만명까지 가능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건물의 크기도 키우고 주차빌딩까지 세웠지만, 수요예측이 빗나가면서 관리유지비만 더 들어가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