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 동구 소제동 일대의 주거환경 개선사업지구로 지정된 지역에 최근들어 빈집, 폐가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한 주택이 입구부터 출입을 하지 못하도록 나뭇가지로 담을 쳐놓아 을씨년스럽게 느껴진다.김상구 기자 ttiger39@ |
2006년 이후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지연된 동구에서만 화재 400여건이 발생했다. 주거지 곳곳에 방치된 빈집은 폐가로 변해 흉물처럼 도사리고 있다. 건물 소유주가 빈집을 관리할 수 있도록 강제하거나 철거를 유도할 수 있는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이유다.
지난 21일 기자가 찾은 동구 신안동. 이곳 주민 봉철영(58)씨의 안내로 찾아간 대신2지구의 골목은 한집 건너 보이는 게 빈집이었다.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로 지정된 이후 착공이 늦춰지면서 주택은 수리되지 않고 빈집은 계속 늘어갔다. 세를 놔도 이곳 빈방에 살겠다는 사람이 없어 건물 전체가 무너질 듯 방치된 빈집도 수두룩했다.
봉씨는 “도시가스도 없고 지난해 맹추위에 보일러가 동파된 곳도 수리되지 않아 집을 버려두고 이사한 주민도 많다”고 말했다.
특히, 2008년 이후 3년 만에 전체 주민의 51%(2160명)가 빠져나간 동구 소제동은 빈집문제가 심각하다. 지금도 하루에 몇 채씩 빈집이 만들어지고 있고 이렇게 방치된 빈집은 추위를 피해 찾아드는 노숙자의 차지가 돼 밤에는 불까지 지핀다는 게 주민들의 설명이다.
동구 통계자료에 따르면 2006년 이후 지난해 말까지 관내 주거환경개선사업지구에서 모두 412건의 화재가 발생해 3명이 사망했다.
주민들은 또 밤에 가로등도 제대로 비추지 않는 골목을 따라 버려진 폐가를 지나야 한다는 현실에 생활 속 공포감을 호소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은 천동3구역, 대동2구역 등 주거환경개선사업이 중단된 지역에선 쉽게 볼 수 있다.
주민 성모(49·여)씨는 “대학생 두 딸이 밤에 귀가한다고 하면 정류장까지 나가는 것은 기본이다. 두 딸에게 호신용 최루액까지 지니고 다니게 한다”며 “남아있는 주민들의 생활을 위해 빈집 관리가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그러나 지자체의 빈집 대책은 제자리 수준이다. 동구는 주거환경개선사업 지연구역 5곳에 빈집 78채가 있다고 집계하고 있으나 실제는 이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흉물인 빈집을 정비하려는 계획도 지자체는 내놓지 못하고 있다.
동구 관계자는 “내달까지 빈집 현황조사를 벌여 소유주에게 적극적인 관리를 권고할 예정”이라며 “빈집 철거 등의 적극적 정비는 김길태 사건의 부산 일부 지역에서만 시행되는 제한적 제도”라고 밝혔다.
임병안 기자 victorylb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