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대전시에 따르면 도시철도 2호선 건설계획의 예비타당성 조사통과를 위한 전략으로 노선과 기종, 건설방식 변경 등을 세웠던 것으로 전해졌다. 시는 노선에 대해 예타조사 신청 전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1단계 사업을 진잠~중리네거리로 할 지, 진잠~유성네거리로 할 지 고민해 오다 진잠~유성네거리 구간(28.6㎞)으로 최종 결정했다.
하지만 노선을 당초 계획보다 축소할 경우 후폭풍이 커 '협상카드'에서 제외됐다. 기종은 '자기부상열차'에서 '모노레일'로 바꾸면 전체 사업비가 크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기종을 변경하면서 총 사업비가 1조4572억원에서 1조2770억원으로 12.4%(1802억원) 줄었다.
건설방식에서도 '지하와 고가 방식'에서 '전 구간 고가'로 변경하면 1300억원 정도의 사업비를 줄일 수 있다. 도로 폭이 좁은 대동~동부네거리 3㎞ 구간을 지하화하면 2700억~3000억원이 소요되지만, 고가방식으로는 1340억원이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는 예타 조사 업무의 실질적 주무 부처인 기획재정부와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해 후폭풍이 큰 노선보다 기종과 건설방식 변경을 '협상카드'로 선택한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같은 기종으로 추진 중인 대구 3호선에 비해 사업비 확보 측면에서는 다소 불리할 것으로 보인다. 대구 3호선은 예타조사 때 한 단계 위 기종인 'AGT(무인자동대중교통수단)'로 신청해 '모노레일'로 변경한 반면, 대전 2호선은 '모노레일'로 신청했다. 사업비가 더 드는 '자기부상열차'로 바꿔야 해 상황이 다르기 때문.
시는 일각에서 제기하는 '추가수정 의혹'에 대해 더 이상은 없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도시철도 2호선 예타 통과를 위해 준비했던 꺼낼 수 있는 '협상카드'는 다 꺼냈다”며 “더 이상의 건설계획 변경은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한편, 도시철도 2호선 건설계획은 다음 달 기재부에서 한국개발연구원(KDI)으로 넘겨져 학술 및 기술적인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